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 및 문학 교육

시 교육에서 영상매체 언어 활용의 방법과 의미 -TV 프로그램 <낭독의 발견>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Method and Meaning of Using Visual Media Language in Poetic Education - Laying stress on TV program <Finding Recitation>-

박윤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wadays, dew to in reversed curriculum, we should have faced with needs of cultural grounding on the real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ase of TV media, there has a direct and inclusive socio-cultural operation based on visual essence of media, which requires to have new standpoint of literary language through text reading. Therefore, in receiving media text, we must instruct three paces, which are understanding the style of meaning production, critical interpretation, and aesthetical enjoyment. TV program in KBS1TV works as a valuable material within the realm of meaia-language usage especially poetic education. We can handle it by three standpoint as a production of meaning in ‘telling in showing' way, reception as aesthetical enjoyment during recitation, and critical interpretation as a cultural practice. As the goal of media language education aims at enhancing the receptive ability of lingustic culture, it can be fulfiled when literary ability is layed on real circumstances. This requires compositive meeting between human science and social utility, based on the ability of text criticism. In this connections, poetic education in media text can open the horizon of cultural practice with creative thoughts and meanings.

한국어

오늘날 대중문화의 가장 중요한 소비자는 청소년들이다. 자본주의가 심화된 현실에서 매체들은 제각각 잉여 창출을 위해 부심한다. 흔히들 이제 문화의 개념을 동적 실체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들 하지만, 과연 현실에서 그들이 주체적으로 문화를 수용하고 있는가는 의문부호를 단다. 말하자면 풍요 속의 빈곤, 다양성 속의 획일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할 때 문화론은 공허한 이론으로 그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매체교육은 대중들이 사회와 문화 현실, 그리고 그 맥락에 대해 알고 비판적인 관점을 확보하도록 역할을 해야 한다. 즉, 문화론적 관점은 현실적 삶의 주체들로 하여금 자신이 처해 있는 문화 현실의 진정한 의미에 대해 자신의 관점을 세울 수 있도록 기능할 때 그 의의가 있는 것이다. 결국 매체교육에 관한 한 이러한 현실문화론적 관점은 그 문화의 향유자들이 문화의 주체로서 자신의 취향과 선택에 대해 스스로 객관화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해준다고 할 수 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낭독의 발견>의 경우 ‘낭송’이라는 시문학 고유의 수행적 요소를 현실화하여 시청자 독자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대담 형식에 담긴 담론으로서 매체언어의 구현 양상에 대해 이해하고, 피대담자의 낭송이라는 행위에 담긴 인간의 맥락에 대해 탐구하도록 하며, 이러한 실행과정이 만들어내는 삶의 가치화를 지향할 수 있는 수용 지평을 형성시킴으로써 지금까지 내적이고 구조적인 측면을 강조해온 시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개정 교육과정에서 매체 언어의 교육적 위상
 3. 텔레비전 텍스트의 시교육적 활용-<낭독의 발견>의 경우
 4. 영상매체 언어의 시교육적 의미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윤우 Park, Yoon-Woo. 서경대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