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및 동아시아 인문학

일제 강점기 만주 이주의 세 가지 풍경 -『고향 떠나 50년』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ree Scenes of Manchurian Immigration during Japanese Occupation

송현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Jung Pan Ryong’s “Fifty Years after Leaving Hometown”, three scenes of the Manchurian immigration are well described. While exile and study abroad in the Soviet Union is also explained, this is excluded since they all happened after the writer settled in the Korean Autonomous Region. First scene is the scene where the Jungs immigrate to Manchuria at night. Damyang is where the Jungs have resided for generations. They have friendly neighbors and in-laws, while there is no direct relative, and they have their ancestors’ graves. Also, there was the family’s beloved house. The location Damyang is unchangeable, but the lives of the Jungs change by people living there, and they could not afford to reside in Damyang anymore. They had to leave their hometown because of Japanese police’s unjust treatment and the colonial government’s exploitative policy. The family seeks new life in Manchuria, but they lose direction. They have to make a decision. Since they sneaked out of their hometown, the family could be punished when go back. Nonetheless, the Jungs even consider going back to their hometown. Second scene is the scene the Jungs going to the Younggu Farm which a Korean man from Younggu introduces them. The scene to the Younggu Farm is more detailed than the previous scene. Tension of being pursued by moneylender and Japanese police disappears, and how the family members do and what happen while going to the farm with half hope and half fear. The Younggu Farm is a plantation built by Japanese colonialists to establish an agricultural base in the Northeast area for invasion of China. The condition for their settlement is more severe than other immigrants. There is no choice but to do physical labor. Nevertheless, starvation is unavoidable. However, the second son’s school principal, Song Jae Won of Youngheung Elementary School finds out their story and provides humane treatment to them for the first time. The third scene is when the family moves to the northern Manchuria’s Hadong, by invitation of Mr. Song. While going to the Younggu Farm, the family had fear of starvation and being new to the place rather than hope. They walked on the land of nowhere, without knowing anyone. However, their footstep toward Hadong village is full of hope and thrill, and there are people waiting for them. Moreover, they could arrive at the destination by riding carriage and bicycle. They do not need to fear and suffer cold. The Jungs’ encounter with Mr. Song is lucky. Thanks to Mr. Song’s care, the Jungs could escape from poverty, and the children could study and become self-sustainable. Although Mr. Song goes back to Korea, the Jungs retain valuable assets of farm and knowledge. They could not settle safely and completely in Manchuria.

한국어

정판룡의 『고향 떠나 50년』에는 만주 이주의 세 가지 풍경이 잘 나타나 있다. 물론 하방이나 소련 유학 등의 과정이 서술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는 서술자가 조선족 자치주에 완전히 정주한 이후의 일이기 때문에 논외로 한다. 첫 번째 풍경은 정씨 일가가 야반도주하여 만주로 이주하는 풍경이다. 담양은 정씨 일가가 대대로 살아온 공간이다. 가까이 지내던 정든 이웃이 있고, 친척은 없으나 인척이 살고 있었고, 선조가 묻혀 있는 땅이다. 오랫동안 살았던 추억이 담긴 정든 집이 있는 곳이다. 담양이라는 공간은 불변의 곳이지만, 그곳에 살던 사람들에 의해 정씨 일가의 삶은 변화되어 더 이상 그곳에 머물 수 없게 된 것이다. 일본 경찰 가족의 부당한 행패와 일제의 식민지 수탈정책으로 그들은 더 이상 고향에 머물 수 없었다. 그들은 만주로 이주하여 살길을 찾지만 길을 찾지 못한다. 살아남기 위해 새로운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야반도주한 처지이기 때문에 다시 고향에 돌아가면 몰매를 맞을 가능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돌아가는 것을 고려하는 처지에 놓이게 된다. 두 번째 풍경은 영구에서 온 조선 청년이 소개해준 영구농장을 찾아가는 풍경이다. 영구농장을 찾아가는 풍경은 야반도주의 풍경에 비해 구체적이다. 빚쟁이와 일본 경찰에 쫓기는 긴박한 분위기가 사라지고 영구농장을 찾아가면서 느낀 기대 반 두려움 반의 심정과 이주를 하면서 가족들이 어떤 역할을 했고 어떤 일이 있었는지 등이 아주 상세히 표현된다. 영구농장은 일본 제국주의자들이 중국 침략을 위한 식량기지를 동북지방에 구축하기 위해 세운 농장이다. 그들은 거기에서 이종시사촌 언니 가족을 만나 정주하게 된다. 그들의 정주를 위한 조건은 다른 이주민들의 경우보다 더욱 열악했다.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폭은 넓지 않았다. 고작 육체적인 노동이 전부였다. 기아를 면하기 어려웠지만 둘째 형이 영흥소학교에 다닌 인연으로 그들 가족의 힘겨운 사연을 송재원 교장 선생이 알게 되어 처음으로 인간적인 대우를 받게 된다. 세 번째 풍경은 송 교장의 초청으로 북만 하동으로 이주하는 풍경이다. 영구농장을 찾던 때 그들은 희망보다는 굶주림과 낯설음에 두려움을 느꼈었다. 누구 하나 아는 사람 없는 낯선 땅이요 멀고 먼 길을 걸어갔었다. 그런데 하동촌을 찾는 발걸음은 희망과 설렘에 가득 차 있었고, 그들을 기다리는 사람들도 있었다. 뿐만 아니라 마차와 자전거를 타고 목적지에 즐거운 마음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추위와 공포를 전혀 느끼지 않아도 될 상황이었다. 정씨 가족이 송 교장과 만난 것은 천운이라 할 수 있다. 송 교장의 보살핌으로 정씨 가족은 궁핍한 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자녀들은 공부를 하여 자립할 수 있었다. 송 교장이 조선으로 돌아갔지만 이제 그들에게는 소중한 자산이 남아 있었다. 농사지을 땅이 있었고, 배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모두 자리를 잡고 온전하게 만주 땅에 정주하게 된다.

목차

국문요약
 1. 문제의 제기
 2. 야반도주하여 만주로 이주하는 풍경
 3. 낯선 사람의 소개로 영구농장으로 이주하는 풍경
 4. 친지의 초청을 받고 하동농장으로 이주하는 풍경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현호 Song, Hyun-Ho. 아주대 인문학부 국어국문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