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인문학

한설야 단편소설의 개작 양상 연구 -외국인 표상의 변화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cess of Revision in Han Sul-Ya’s Short Novel

이경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revision in Han Sul-Ya’s short novel with an emphasis on the change of foreigner figure. The purpose of revision is to express his ideology that can’s write in japanse colonial period. Secondly, the purpose of revision is to reflect political ideology in the 1950’s. The changes made in the narrative contents are characterized by strengthening of anti-Japanese consciousness, nationalism. Because of this, colonial production relation comes out in the and ‘a muddy stream trilogy’. Anti-Colonialism is exposed in the novel written after liberation in reference to the chinese figure. The North Korea made external enemy and exposed intense hostility. External enemy were Japan and USA. On the contrary, The North Korea had relationship with chinese as a blood alliance. This political discourse became known in ≪Homecoming≫.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by ideology was strengthened. The will to overcome world changed novel’s end. Consequently, the complex and intelligent works disappeared. The short novels in ≪Homecoming≫ are the examples that ideology gave Han Sul-Ya’s literature serious influence.

한국어

한설야 단편 소설의 개작은 미학적 완결성의 추구라는 일반적인 목적 위에 크게 두 가지 의도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는 일제 시기 엄혹한 시대 상황으로 인해 표현할 수 없었던 작가의 사상을 해방 이후에 비로소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두 번째는 1950년대 북한이라는 시공 속에서 강화된 정치적 의식을 반영하기 위해 개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과도기>와 <씨름> 두 편을 제외하고는, 북한에서 출판된 소설집 『귀향』에 실린 소설들이 모두 카프 해산 이후 쓰여진 작품이라는 것에서 방증을 얻을 수 있다. 외국인 형상의 변화를 통해 볼 때, 특히 한설야의 내셔널리즘이 강력하게 개입해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개작된 여러 작품들에서 강렬한 반일의식이 전면적으로 표출되고 있다. 이것 은 <과도기>와 ‘탁류3부작’과 같은 작품에서 식민지적 생산관계를 선명하게 드러내는 기능을 한다. 원작에서 보이던 생산력의 발달이 가져온 성과에 대한 중립적인 시각은 지워져 있다. 또한 중국인의 형상화에 있어서도 일제 말기와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일제 말기 중국인에 대한 한설야의 의식이 식민주의적 (무)의식과 반식민주의적 의식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중층적인 모습이었다면, <보복>의 개작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듯이 해방 이후 소설에는 반식민주의적 의식만이 선명하게 드러날 뿐이다. 일본인과 중국인의 표상에 있어, 이처럼 달라진 양상은 1950년대 한설야가 지닌 내셔널리즘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해방 이후부터 북한은 실제적인 이유에서건 국가 재건을 위한 이유에서건 외부의 적을 상정하고 그에 대한 강렬한 적개심을 드러냈다. 이 때 외부의 적으로 등장한 것은 미국과 일본이였다. 반대로 중국과는 6.25 의 대규모 파병이 증거하듯이 혈맹의 관계를 맺어왔다. 이러한 당대의 정치적 담론이 『귀향』의 개작본에는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일본인과 중국인을 포함한 작중인물 형상화에 있어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징은 이데올로기적 구분에 따른 선악의 이분법이 크게 강화된 것이다. 이것은 주제소설로서의 성격을 지니는 해방 이후 한설야 소설의 일반적인 특징이기도 하다. 인물 형상화에 있어 선명해진 선악의 이분법은 작가의 현실 극복 의지가 강화된 것과 맞물려 있다. 현실 극복 의지의 강화는 작품 결말의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일제 말기 한설야 소설이 확보했던 복합적이며 성찰적이었던 생활의 공간과 예술성을 담지한 사상의 공간은 사라지게 된다. 소설집 󰡔귀향󰡕에 실린 개작 단편들은, 1950년대 북한문학의 이데올로기적 담론에서 자유롭지 못하던 한설야 문학의 특징을 보여주는 구체적 사례이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일본인 형상의 변화를 통한 식민지적 생산관계의 모순에 대한 강조
 3. 중국인 형상의 변화에 나타난 반식민주의적 의식의 강화
 4. 인물 형상화의 이분법과 현실 극복 의지의 강조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재 Lee, Kyung-Jae. 아주대 기초교육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