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초기 주역중심의 유불대론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I-Ching Centered Debates between the Buddhist and the Confucian in Early Chosun Dynasty

유정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Ching in early Chosun dynasty was the source of theoretical ground for anti-Buddhist scholars, such as Jeong Do-Jeon, Kwon Keun and so on. However, protectors of Buddhism, like Kihwa, adopted it as the basis of defending. Reason of the development of I-Ching centric Buddhist defending theory of Buddhism in early Chosun dynasty needs to be clarified. I-Ching was regarded as the uppermost canon among Confucians of the time. It seems to be that Buddhist attempted to utilize such authority of the canon itself as the asset of Buddhist defending theory; and they might be familiar with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substance and function which is centered with Yin-Yang in I-Ching. Especially, Yooseokjileuir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ext of Buddhist defending theory accepted the theory of I-Ching as it is, then attempted direct integration of the theory of causality and the theory of Yin-Yang.

한국어

조선 초 『주역』은 정도전과 권근과 같은 배불론자들이 이론적 근거를 찾아내는 원천이었다. 그러나 또한 기화 같은 호불론자들이 호불의 근거로 삼는 경전이기도 하였다. 조선 초기 불교계가 『주역』을 중심으로 호불이론을 전개한 이유는 무엇일까 ? 『주역』은 당대의 유학자들에게 있어 최고의 경전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그러한 경전의 권위를 그대로 호불이론의 자산으로 만들고자 했던 이유였으며, 『주역』의 음양을 중심으로 하는 체용론적 구조가 불교에게도 익숙한 탓이라고 보인다. 또 『주역』의 은유적 표현들이 불교식의 재해석에 유용하였던 것이 이유일 것이다. 특히 호불이론서인 『유석질의론』은 『주역』의 이론을 그대로 수용하여 인과론과 음양론의 직접적인 회통을 시도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주역』과 불교비판
 Ⅲ.『주역』과 호불이론
 Ⅳ. 유불간의 간괘 해석
 Ⅴ. 결론
 국문 요약문
 영문 요약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정엽 Yoo, Jeong-Yeop. 원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