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제(臨濟)의 선(禪)사상과 수행

원문정보

Seon Thought and Practise of the Limze(臨濟)

이혜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ze's Seon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eon sect among the two kinds of famous seon sects in the world, along the JoDong Seon sect. Limze's Seon thought and practice had been succeeded until now, in the most of the Korean Seon Temple. His Seon thought handed down from the Bodhi Dharma to MaZo -BakJang -HwagByak -LimZe. Among them, LimZe' Seon thought was most new and unique and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formation of Patriarch-Seon. Before him, most of the seon masters insisted that Dharma-kaya was the nature of sambhoga-kaya and nirmana-kaya, but LimZe claimed that even Dharma-kaya was the convenient methode for stroking a baby down. He also insist on killing the Buddha and Patriarch and putting the Patriarch Seon more higher phase than the Tathagata Seon. From this, Patriarch Seon's thought became to form. LimZe's three kinds of phrases expresses the convenient methode for saving the various kinds of the sentient beings. Though mind is the base of all, but does not stay on the mind, though he experiences the emptiness, but does not stay on the emptiness. Instead of avoiding the objects, he insists on using the objects, and instead of being stained by the objects , he insists on running the objects. It means that though opening the sense organs but does not make the cause and effect any more, and stay in being awakened state in every moments. Whenever LimZe gave the dharma teaching, he used the various kinds of the convenient methode which were forgotten today. these times, we need to evoke the LimZe's various kinds of the convenient methode for saving the all sentient beings.

한국어

임제의 선사상과 수행은 선종(禪宗)에서는 조동종과 더불어 양대 맥을 형성하고 있으며, 오늘날까지 그 사상과 수행이 계승되어 내려오고 있는 대표적인 선사상이다. 그러한 선사상은 달마로부터 비롯하여 마조- 백장 -황벽 -임제로 전승되지만 그 가운데에서도 가장 새롭고 독창적인 선종의 사상을 주장하는 것은 임제에 이르러 시작된다. 법신불이 보신불이나 화신불의 바탕(體)이 된다는 이전의 주장과는 달리 모두 시설방편임을 설하고, ‘살불살조(殺佛殺祖)’를 주장하여 무위진인(無位眞人)을 스스로 안에서 찾기를 주장하며 조사선(祖師禪)을 여래선(如來禪)보다 높은 위상에 두는 조사선(祖師禪)의 사상이 형성되기 시작된다. 임제 3 구(三 句)는 다양한 근기(根機)를 위한 시설방편(施設方便)임을 알 수 있다. 마음이 바탕이 되지만 마음에도 머물지 않고, 공을 체험했지만 공에 머물지 말라는 가르침을 통해, 매 순간 자신에게 본래 갖추어진 무위진인(無位眞人)을 회광반조(廻光返照)하면서 새로운 연기(緣起)를 만들지 않고, 매 순간 경계인 대상을 피하거나 외면하지 않고 직접 부딪히면서도 어디에도 오염되지 않고 홀로 스스로 깨어 비추기를 당부한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경계를 타고 활용할 줄 아는 것을 통해 경계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기를 바랐다. 이것은 임제가 중생을 제도하는 다양한 시설과 방편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다양함은 오늘날 선종을 지도하는 입장에서 다시 환기(喚起)시켜야할 부분으로 생각된다.

목차

머리말
 Ⅰ. 임제 선(禪)사상의 배경(背景)
  1. 물 외(物外)사상
  2. 임제 3 구(三句)
  3. 무의(無依)
  4. 무위 진인(無位眞人)
 Ⅱ. 임제 선(禪)사상의 특징
  1. 사교입선(捨敎入禪)
  2. 무사(無事)
  3. 조사선(祖師禪)의 형성
  4. 회광반조(廻光返照)
 Ⅲ. 임제의 수행-대중교화
 1. 대중교화의 방법
 맺는 말
 국문 요약문
 영문 요약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혜옥 Lee, Hye-Ok. 동국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