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休休庵 坐禪文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Xiuxiu Yan Discourse on Za-Zen"

휴휴암 좌선문에 관한 연구

이원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hesis is a study of Mengshan's (蒙山 德異 1231~?) "The Xiuxiu Yan Discourse on Za-Zen (休休庵坐禪文)". I studied Mengshan's practice, surveying both his life and his writings. Mengshan was the twenty first Zen [Ch'an, Son] Master from Nanyue Huairang (南嶽 懷讓) during the Yuan dyanasty (元) in China. Mengshan lived in retirement to a hermitage named "Xiuxiu Yan" and "The Xiuxiu Yan Discourse on Za-Zen" was filed in his work Menshan's Dharma Words (蒙山法語). Through this writing, he wanted to express his thoughts on sitting meditation (Za-Zen). The Xiuxiu Yan Discourse on Za-Zen" suggests a definition for Za-Zen. Since he was a Zen master who practiced K'an-hua Zen's (看話禪) "Koan on the character Wu (無 no, not)" , and was also a practitioner who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San-Zen (參禪), his definition of sitting meditation (Za-Zen) is thought to be an instruction for an improved practice of San-Zen. While the distinction between San-Zen and Za-Zen is not clear, it may be sai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Discourse on Za-Zen" developed a good eye for Zen, whereas the practice of San-Zen is to reach the state of Za-Zen though a pragmatic practice. In this study, it is pointed out that the characters in "The Xiuxiu Yan Discourse on Za-Zen" were recorded differently; and studied in the structure of "The Discourse on Za-Zen", were the meaning in the title "Xiuxiu Yan", and Za-Zen's definition, made by distinguishing between "Za" and "Zen"and also by synthesizing them. Also examined in this study, was the significance to encourage practitioners to apply greatly to extraordinary situations. It further mentioned the receptive nature of "The Discourse on Za-Zen" for the three religious teaching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Mengshan's thoughts regarding sitting meditation (Za-Zen) have also had a deep influence on Zen circles in Korea. Although he never came to Korea, it seems as though his thoughts had been transmitted through associations with Korean Zen Masters and the intellectual class of Korea.

한국어

덕이본『육조단경』을 통해 더 잘 알려져 있는 남악의 21대 法嗣인 몽산 덕이선사의 저술 가운데 「휴휴암 좌선문」은 몽산의 좌선관은 물론이요 뜻있는 수행자들의 지침서가 되는 좌선문이라 할 수 있다. 참선과 좌선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몽산의 이 「휴휴암 좌선문」에서는 좌선의 특징에 대해 작법이나 심신의 상태 보다는 선의 경지, 또는 선의 안목에 대해서 좌선의 정의를 내리고 또한 선의 안목을 좌와 선으로 분석하여 계단식으로 심오하게 전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좌선의 정의를 다시금 하나의 정의로 함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결국에는 이 또한 선의 특징인 不立文字요 言語道斷의 자리임으로 마무리 하고 있다. 「좌선문」에는 또한 좌선의 경지를 이루기 위해 뜻있는 수행자들이 끊임없는 정성심으로 참구노력하면 결국에는 나가대정의 상태요, 대기대용의 큰 깨침의 소식인 㘞地一聲의 체험을 얻을 것이라 하였고 이러한 몽산의 좌선문은 물론이요 몽산의 선사상이 담긴 『몽산법어』의 유입과 고려의 승려는 물론이요 사상적 인물들도 몽산과의 교류를 통해서 그의 사상이 전해져 고려말에서 조선을 거쳐 근대의 한국선계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몽산의 행적과 저서
 Ⅲ. 휴휴암 좌선문 의 유래와 이본
 Ⅳ. 휴휴암 좌선문 의 구성
  1. 제명에 나타난 의의
  2. 휴휴암 좌선문 의 내용
  3. 휴휴암 좌선문 에 나타난 사상
 Ⅴ. 한국 선계에 준 영향
 국문 요약문
 영문 요약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원숙 Lee, Won-Sook. 원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