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present a reformative recognition of Seonhakwon in modern Korean Buddhism. The Seonhakwon was established 1921 November. This time Korean Buddhism was receiving governing of Japanese imperialism. It was like that and the Seonhakwon role the central agency of the zen Order in Korean Buddhism. The many activity of Seonhakwon left a many historical meaning from Korean Buddhism. The Seonhakwon to succeed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It is to defend the idea of national Buddhism from Imje Korean Buddhist Order, to succeed to the thoughts of ven. Kyungheo. The operation and activity of Seonhakwon in modern Korean Buddhism were very progress. The Religio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Buddhist temple economy was systematized administrative. It pursued an independent a Buddhist temple economy and developed a system and the activity for the socialization of Buddhism.
한국어
근대 한국불교는 자주적인 사상으로 인정받았지만 개항과 함께 들어온 일본불교와 일제의 통제는 교단조직과 신앙의례 등에서 많은 변질을 가져왔다. 일제는 한국불교의 행정체계를 바꿔 놓았다. 그 결과 본사 주지들의 권한이 커지면서 이를 유지하려는 친일적 행동이 발생되었다. 또한 일본불교의 유입으로 한국불교의 전통의례 역시 변질되었다. 이런 모습을 지켜본 뜻있는 수행자들이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찾고 새로운 시대에 맞게 한국불교를 유지하려는 뜻에서 1921년 설립된 것이 선학원이다. 이렇게 출발한 선학원은 개혁적 성향을 띠면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며 새로운 분위기를 만들어갔다. 처음 선학원을 창립한 사람들은 일제의 강점에서 한국불교 수행풍토를 지켜가는 것이 민족성을 지키는 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시대에 뒤떨어진 조직과 운영체계를 변화시킴으로써 새로운 불교운동을 지향하였다. 일제의 견제와 재정적 압박이 가중되면서 1926년 5월 활동이 중지되었다. 잠시 활동을 멈춘 선학원은 일제에 의해 계행이 허물어진 한국불교를 정립하려고 1931년 1월 재건하면서 불조의 혜명을 지켜가는 것이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일로 보았다. 그리고 그런 불교가 우리 사회에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 고민한 결과 사회적 지평을 확대하는 것이 최선의 길임을 인식하였다. 그 결과 대중 활동에 많은 심혈을 기우려 일제하에서 한국불교를 지켜나가는 데 크게 공헌하였다.
목차
Ⅱ. 선학원 창립에 나타난 개혁인식
1. 창립배경과 현실인식
2. 선학원 운영의 합리성
Ⅲ. 선학원의 재건과 개혁적 지평
1. 한국불교 정체성 정립
2. 사회적 지평의 확대
Ⅳ. 결어
국문 요약문
영문 요약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