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평기와의 속성 정리 시론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Roof Tiles

김희철, 이동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oof tiles are often discovered at sites, but it has been difficult to study these artifacts due to their sheer quantity. The aim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suggest a means of overcoming this problem.
An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indicates that the position of craftspeople fell in terms of social standing with the centralization of government, and that this trend continued into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Nevertheless, the consumption of roof tiles was limited and they were only selectively used in buildings associated with authority. Information which can be obtained from roof tiles includes manufacturing technique, and it is ofte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at evidence of this was left. Therefo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is issue, related documents from China and Korea, the Tiangongkaiwu (天工開物)』and Jaewajang (製瓦匠)』, respectivel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llustrated that although small differences existed in terms of the tools use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erm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terminology of roof tiles was compiled. This was aimed at achieving some kind of coherency with regard to the study of roof tiles carried out by the different institutions. In addition, focus was put on the formal attributes of roof tiles believed to represent temporal change. It was suggested that the manufacture of roof tiles was a seven step process, and that the fourth stage (base clay preparation) and fifth stage (forming) led to certain attributes which could be used to infer the period of production. Reports of roof tiles often consist only of mere description. Thus, in compiling and arranging these basic attributes associated with manufacture or temporal variation, we may fully exploit the potential of roof tiles as valuable historical data.

한국어

기와는 주변 유적에서 흔히 확인되는 유물이다. 다만 압도적인 수량으로 말미암아 체계적으로 정리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수량적인 애로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정리를 위한 하나의 시론을 제기해 보았다. 기와를 이해하기 위한 전제로서 각 시대별 공인의 존재 양태를 문헌을 통해 정리하였다. 그 결과 집권체제가 정비되면서 장인은 그 자체 기술직으로 신분이 하락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고려와 조선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기와의 소비는 제한적이어서 권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에서만 선택적으로 소용되었다. 아울러 기와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정보로 제작기법을 들 수 있겠는데, 그러한 흔적은 성형공정에서 가장 많이 남게 된다. 때문에 이러한 흔적을 이해하기 위해 중국자료인『天工開物』과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간행한『제와장』을 비교자료로 삼았다. 비록 소소한 도구의 차이는 있었지만 제작과정의 대과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와의 사진을 제시하여 용어를 정리하였다. 이는 각 기관에서 발간되는 기와와 관련된 기술에서 어느정도 통일성을 가져보자는 취지의 일환이기도 하다. 덧붙여 출토된 기와의 외형에 남은 흔적들 가운데 시간적 속성을 가지는 것을 중심으로 일별해 보았다. 기와는 크게 7단계의 공정을 거쳐 제작되며, 그 중 4단계인 소지, 5단계인 성형에서는 시기를 추출해 낼 수 있는 고유의 속성이 남게된다. 사실 기와와 관련된 보고서는 단편적인 기술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시기성이나 제작공정을 보여주는 여러 흔적들이 정리되지 못한 채 사장된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초적인 정리를 바탕으로 각 현장에서 출토되는 기와류의 속성이 꼼꼼하게 체크된다면, 역사복원의 자료로서 충분히 기와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기와의 제작공정
  1. 문헌에 보이는 기와관련 기사
  2. 제작공정 개관
 Ⅲ. 기와에 보이는 속성
 Ⅳ. 정리유형의 일례
  1. 기존의 정리 유형
  2. 정리유형의 보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희철 Hee-chul Kim. 재성림문화재연구원선임연구원
  • 이동주 Dong-joo Lee. 재성림문화재연구원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