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분석과 발전 방향

원문정보

The Construction Method and Developing Direction for the Placename Database of Korea

김종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objective or the necessity of construction of gazetteer, the source materials, and the structure of database. Later, I will also briefly mention the way of utilizing this database. The Constructing database of the placenames of Korea is to extract placenames in the text materials of Korea, and then to geo-reference the exact position on the topographic
maps. The source materials for contructing of database are old, modern and present maps and the geographical dictionaries and geographical books. The basic frame of this database is granting subject value, spatial value, and time value to each placename. The subject value is being set by classifying types of placenames and signifying mode. The spatial value is being set
by coding the past location and contemporary location as administrative district and digitized by geographical coordination. The time value is determined by the original published point of time of resource text. Giving time value to the place names is useful for managing their longitudinal records. Mode value of placename is determined by point, line and polygon and this is
required for regulating relationships among placenames. The placename type classification can be used for understanding locality or local culture. When local governments make new placename, this database can be useful resource for them. Moreover, by identifying culture diffusion way, economic military movement way, and the positions of transportation, commercial
and religious facilities, it can do a key role in reconstructing old times landscape, and can be a basic resource for institutional history.

한국어

이 글은 한국의 지명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주요 내용은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에서 확보하고 있는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저본으로하여 향후 확장할 수 있는 범위와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좀더 발전된지명DB의 구축방향을 모색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DB는 엑셀프로그램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구조를 확장하는 데에 별 지장이 없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데이터베이스의 필드구조를 분석하고 구축 당시 동원된 자료원(資料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확장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는 지명유형에 대한 분석, 이명(異名)에 대한 분석, 지명의 시간값에 대한 분석, 지명의 공간값에 대한분석 등이 핵심을 이룬다. 지명데이터베이스 구축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정부 차원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며, 아울러 구축된 지명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효율적으로 서비스되어야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지명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과현황
  1. 지명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필요성
  2. 지명의 분류와 지명데이터베이스의 보유현황
 II. 지명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분석
  1. 지명DB의 필드구조
  2. 웹서비스 현황
 III. 지명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발전 방향
  1. 자료원의 확장
  2. 지명유형의 확장(1) : 주제값
  3. 지명유형의 확장(2) : 양태값
  4. 이명에 대한 관리체계 확장
  5. 시간 DB 설계의 확장
  6. 공간 DB 설계의 확장
  7. 지명 관리 시스템
 IV. 맺음말
 參考文獻

저자정보

  • 김종혁 Kim, Jonghyuk.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