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ctonics of Free-form Structures designed through Digital Process
초록
영어
Most researches related to digital architectures have been more focused on formal and stylistic concerns than on practical constructions mainly because of the very limited number of realized construction. But demands for researches linking digital technology and architectural production are more required than before in accordance with advancing digital technology and increasing realization. Thus, study was focus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digital tectonics of free-form structures designed through digital proce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ypes of digital fabrications applied to constructing free-form structures - composed of surface-covering members and structural members - are basically accomplished with digital pre-fabrication methods rather than on-site constructions. 2) Lisas Iwamoto's five types of digital fabrications - sectioning, tessellating, folding, contouring, and forming -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such as an assembling and a monocoque types, based on degree of requirement of connecting procedure on site. 3) 'Sectioning' and 'folding' have more structural strength while 'contouring' and 'forming' are more expressive. Those five types of fabrications can be used solely on its own or in any multiple combinations.
한국어
실험적 성격이 강한 디지털 건축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형태생성에 집중된 반면 실제적 구축성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빈약했다. 하지만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구축 사례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어 형태생성에 대한 논의와 함께 실제적 구축술에 대한 연구가 크게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기술에 따른 건축형태의 변화와 자유형태 구축을 위한 디지털 프로세스의 분석을 통해 구축적 유형과 그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디지털 프로세스를 통한 자유형태의 구축은 현장 작업보다는 디지털 사전제작을 통해 현장작업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구축 방식은 크게 외피와 구조부재로 구분되어 생산된 후 현장에서 조립되는 방식과 외피와 구조부재의 구분이 없이 하나로 통합된 모노코크 방식으로 대별된다. 2) 자유형태의 구축 유형을 리사 이와모토(Lisa Iwamoto)가 정리한 sectioning, tessellating, folding, contouring, forming의 5가지를 기준으로 분석해보면, 사전제작된 부재의 결합 공정이 크게 요구되는 sectioning, tessellating, folding 그룹과 결합공정이 최소화된 contouring, forming 그룹으로 대별된다. 3) sectioning과 folding은 가장 구조적 해석과 기능이 크게 부각되는 유형이고, contouring과 forming은 표현적 특성이 더욱 부각되는 유형이다. 각각의 구축 유형은 단일로 적용되기도 하지만 복합적으로 적용됨으로써 자유형태 구축의 완성도가 높아진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디지털 건축의 자유형태적 접근
2.1 디지털 기술과 건축형태의 변화
2.2 공간 구조의 개념적 변화
3. 자유형태 구축을 위한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
3.1 형태생성을 위한 디지털 프로세스
3.2 구축을 위한 디지털 프로세스
3.3 부재 생성기술과 물성
4. 디지털 프로세스에 의한 구축 유형 및 특성
4.1 Sectioning
4.2 Tessellating
4.3 Folding
4.4 Contouring
4.5 forming
4.6 소결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