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國

Diverse Voices on a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 in Korea

원문정보

공동육아 어린이집에 관한 다양한 목소리들

Hyun-Jean Yi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20세기 초부터 시작된 한국 유아교육의 긴 역사 속에서, 공동육아라는 새로운 유형의 유아교육기관의 출현은 한국 사회 내에서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다른 욕구와 유아를 위한 교육의 변화에 관한 암시 수 있다. 새롭게 등장한 공동육아 어린이집의 일과와 교육 실제에 관한 다양한 목소리들을 통해 유아기와 유아교육에 대한 변화하는 생각과 요구, 그리고 공동육아 어린이집이 기존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제시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다양한 목소리들을 드러내기 위한 방법으로 Video-Cued Multivocal Ethnography(Tobin, Wu, & Davidson, 1989)를 사용하여, 어느 공동육아 어린이집의 일상적인 하루를 촬영한 비디오를 내부인(공동육아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교사, 행정가들)과 외부인(일반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사, 행정가들) 그룹에게 보여준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각 그룹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반응과 해석, 질문, 그리고 답변을 녹음하여 연구를 위한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참여자들에 의해 현저하게 많이 논의된 주제는 언어사용, 공간개념, 시간 개념 등에 관한 것이었다. 언어사용에 있어, 성인의 권위를 내려놓고, 유아와 더 자유롭고 깊은 관계를 위해 공동육아 어린이집 내에서 행해지는 교사와 어린이들 간의 평어사용에 대해 외부인들은 전통에 반하는 일이며, 바른 언어 사용을 배워야할 유아들에게 혼란을 가중 시킨다고 하였다. 두 그룹의 언어 사용에 대한 의견 차이는 어떤 관계를 형성할 것인가와 관련한 전통적인 방식의 유지와 새로운 방식 창조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하였다. 공동육아 어린이집의 공간에 대해서, 외부인들은 성인들이 유아들에 대한 완벽한 가시성을 확보할 수 없는 구조 때문에 교육적 장소로 부적합함을 비판하였다. 푸코가 언급한 일망 감시장치 상황에서 가시성 확보를 통한 권력 작용의 관점에서 볼 때, 가시성을 확보를 통한 성인의 권력 사용을 교육을 위해 필요한 것인가, 또는 가시성으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을 부여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던지고 있다. 시간 개념에 있어, 내부인들은 초기 공동육아 프로그램에 비해 더 타이트하고 엄격한 스케줄이 운용되고 있다고 한 반면, 외부인들은 비효율적, 비교육적인 시간 사용을 비판 하였다. 이는 일상을 계획함에 있어 유아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누가 결정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목차

I. Introduction
 II. Methodology
  1. The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
  2. Data collection
  3. The participants
 III. A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 interpreted by outsiders and insiders
  1. Way of speaking
  2. Concept of space
  3. Concept of time
  4. Making relationships and Nahdri (field trip)
 IV. Conclusions
 References
 논문초록

저자정보

  • Hyun-Jean Yi 이현진. 성신여자대학교, Sungshin Women's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