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rticles

사회적 위험구조의 변화와 대응: 미국과 한국의 사회적 위험관리 비교

원문정보

Change of Social Risk Structure and Risk Management : Comparison of US with Korea

김영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inancial crisis, started in US late in 2007, exerted an effect on even Korea. That's why unpredictable risk and uncertainty headed by unstable labor market are increasing in Korea. Economic crisis exposed the failure of market, and also made family not function as a buffer zone to ease shock anymore. The old social risks, like unemployment, health and old age, are getting in new harm's way. Moreover new social risks appear with regard to unstability of employment and family created by flexibility of labor market. Like this the range and scale of risk structure change into new and newly intensified social risks. The social risk has been shared or decentralized among three sources, that is nation, market(enterprise), and family until now. At the present time market and family, however, already showed not to be a source of risk management. Eventually it is evident that the government should be the main body of risk management. Yet far from managing the social risk, welfare state trends to urge market and family to undertake it, instead. The US government has handed its responsibility for risk management to market and family since Bush's government. As market was dull, many enterprises reduced benefits of social welfare, and burdened individuals with risk management. Actually the crisis of welfare state has been deepened by endogenous factors such as changes of national policies as well as exogenous factors such as unstability of labor market and family. Recently Lee Myong-bak's government has aptitude for following the risk management system of US. It seems that our government executes market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social risks through a series of measures mentioned the above. US has used an employer-sponsor as public-private welfare system.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of risk management. It includes the intention which a nation should positively intervene in the failure of market and risk management. Korea may fail again if it does just like US under the circumstances. The study, at first, examines new and newly intensified social risk in US and Korea, and identifies the position of social risk in a welfare system with regard to welfare expenditure. Secondly it analyzes several social policies enforced in two countries, namely social insurance, active labor market policy, job and family balance policy. Thirdly it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risk management as compared with two countries. Finally it suggests on basis of the limit of risk management in US that the direction of risk management drove forward in Korea should be switched over.

한국어

2007년 말부터 야기된 미국의 금융위기는 한국에도 영향을 미쳐 노동시장의 불안정성과 함께 예견할 없는 위험과 불확실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경제위기는 시장의 실패를 보여주었으며 가족 또한 충격에 대한 완충지대로서 작동할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실업, 건강, 노령 등 전통적인 사회적 위험이 새롭게 위험해지고 있으며 노동시장의 유연성에 의해 야기된 고용의 불안정성, 가족의 불안정성 등 과 관련된 새로운 위험이 부상되는 등 위험구조의 범위와 규모가 변화되고 있다. 지금까지 사회적 위험에 대한 위험관리는 국가, 시장, 가족 등 세 가지 원천을 중심으로 위험을 분배 또는 분산해 왔다. 현재 시장과 가족은 위험관리의 원천으로 실패했음을 보여주었고 국가가 위험관리의 주체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복지국가는 오히려 위험관리를 기업(시장)과 가족에 이전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국가의 위험관리를 기업에게 이전하고 있으며, 기업은 복지혜택 축소와 지원중단으로 위험을 개인에게 이전하고 있다. 사회적 위험은 노동시장과 가족의 불안정 등 외생적 요인뿐만 아니라 국가의 정책 변화로서 내부적 요인에 의해 심화되고 있다. 최근 이명박 정부는 시장의존적인 미국의 노동시장 위험관리를 답습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위험관리는 이미 시장의 불완전성에 따른 기업복지의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이 미국의 위험관리방식을 도입하는 것은 미국의 실패를 반복한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첫째, 미국과 한국에서 최근 새롭게 부상하고, 새롭게 강화되는 사회적 위험에 대해 고찰하며 복지비용을 통하여 복지체제에서의 위치를 파악하고 둘째, 한국과 미국의 사회적 위험에 대한 위험관리와 관련하여 사회보험,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일-가정양립 정책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미국과 한국의 사회적 위험관리의 특성을 고찰하였고 미국의 위험관리의 한계를 기반으로 현재 추진하고 있는 한국의 사회적 위험관리 방향을 전환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새로운, 새롭게 강화되는 사회적 위험
 III. 사회적 위험관리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비교
 IV. 미국 사회적 위험관리의 특성과 한국에 주는 함의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영란 Kim, Young Lan. 숙명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