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rticles

통일교육의 구상과 실천과제: 개념과 방향성에 대한 비판적 접근

원문정보

Design and Practicing Issues for Reunification Education: Critical Approach to the Concepts and the Direction

우평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r inducing the devices for approaching to as more realistic and favorable form of reunification education, it should be overcome the contradictions in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This paper is written for this purpose, for suggesting some conceptual problems, and for showing some directions for the future. Though this process, reunification education has to tried consistently with the education for training as universal citizen in global world, and has to varied in contents for using as a mean of the integration of nation. That is, it is same with questions, why the North Korea has been dropped to the poorest socialist country in the world, or in Northeast Asia, nevertheless, why she will armed with the nuclear and Mass Destruction Weapons. With these problems, it can be pointed that government's old rigid instructions do not matched with young generation's orientations, so this top-down style instructions will not forth to follow to young students in the space of school. In the level of college, the educational system for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should be leveled up to the obligatory subject which is connecting with the education for universal democratic citizenship who loves peace and humanity.

한국어

통일교육이 노정하고 있는 현재의 난점을 극복하고 국민들에게 보다 친근하고 현실적인 내용을 통해 다가설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기존 통일교육에서 존재하는 많은‘모순’을 파악하고 이에 입각하여 실천과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목적에서 통일교육에 있어서 몇 가지 개념적인 문제들을 제기하고 통일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려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통일교육은 보편적 시민교육의 가치에 입각하여 일관되게 추구되어야하며 국민통합의 수단으로 활용되기 위해서 내용적 다양성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 즉, 북한은 동북아에서, 세계적 수준에서 왜 가장 빈곤한 사회주의국가로 전락했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핵과 대량살상무기를 왜 보유하려 하는지, 그것이 한반도의 장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있는 그대로 교육을 하고 토론을 유도한다면 학생들이 스스로 해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정부가 설정한 가이드 라인에 맞추어 모든 교육의 논리를 이끌어나가려는 시도도 현 시대에는 잘 맞지 않는다는 것이 젊은 세대들에 대한 통일교육 현장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태도를 지속하기보다는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이를 교육방침에 반영하는 편이 훨씬 수월할 것이다. 왜냐면 기존 방식대로 해서 학생들의 가치관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천적 측면에서 통일교육은 학교 현장에서의 교사와 학교 내지는 학교 행정에 책임을 지고 있는 인사들과의 교류 및 네트워킹을 통해 이루어지는 편이 통일부가 일방적으로 주도하는 것보다는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대학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의 일환으로 통일교육과목과 시민교육과목을 연계하여 필수과정화함으로써 통일 이후 한반도 공동체를 이끌 주역들에게 세계시민으로서, 평화를 애호하는 문명인으로서, 자신감과 소양을 불어넣어주는 교육으로의 점진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통일 교육에 있어서의 개념상의 문제 : 인식과 평가
 III. 통일교육의 방향성 모색
 IV. 통일교육의 실천과제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우평균 Woo, Pyung-Kyun. 고려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