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rticles

남북관계 변화에 따른 대북경협의 방향과 과제

원문정보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Policy Directions and Tasks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박병철, 박동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efficient policy means for mitigating escalated tensions in the inter-Korean relations. The rel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has been cooling down rapidly since the new government in South Korea. Such situation has fostered the security crisis on political and military levels and reduced the previous enlarged economic cooperation. It seems to be reasonable to say that the causes of deteriorating mutual relations seem to be not a unilateral, but rather a bilateral problem. North Korea has tried to accept only some beneficiaries of the engagement policy of Roh government. North Korea has pursued strictly to maintain its regime rather than to adapt to the changing situation after entrance of Lee Government. Furthermore, North Korea was strictly opposed to the Lee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y ‘Denuclearization, Openness, 3000 Vision’, because it has preconditioned the regime change of North Korea. It seems to be very difficult for North Korea to such policy initiative aimed at its regime change. The current inter-Korean relationship was deteriorated because of the political and military hard stance of North Korea, Stopping of activities in the Gaesung Industrial Complex, and constraints to Mt. Keumgang tour. Such tougher stance of North Korea and the progressing relationship between U.S. and North Korea has led South Korea to concern about North Korea's ‘Talk only with the U.S., ignore South’ plan.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hat Lee government has to reconsider its policy initiative and pursue policy menas to normalize inter-korean relationship. The key point of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of North Korea is to maintain Kim's regime. It is evident that North Korea pursues a series of dialogues with U.S. over Nuclear Issues and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in order to maintain its regime itself. Lee government should resume dialogues with North Korea regarding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at will take a critical step towards a de facto normalization of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Lee government should also seek to North Korea back to negotiating table on the economic cooperation. To reopen dialogues with North Korea, it is essential for Lee government take strategically a more flexible approach to North Korea.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경색되어가는 남북관계를 완화할 수 있는 수단을 모색하고자 한다. 남북관계의 경색은 정치․군사적 차원의 안보위기를 조성하고 있으며, 그 동안 남북간 확대된 경제교류를 상당 부문 위축시키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일방의 문제가 아니라 쌍방에 모두 잘못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왜냐하면 그동안 참여정부 시절의 대북 포용정책에 대한 대내적 반응에 북한은 일방적 수혜만을 받으려 했으며, 이명박 정부의 출현에도 김정일 정권은 정책 변화의 의지보다는 혜택을 통한 체제유지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또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인 ‘비핵․개방․3000’구상은 김정일 정권의 체제변화를 수반하는 정책으로 현실적으로 수용하기가 쉽지 않다. 실제 ‘비핵․개방․3000’구상은 북한에 있어 최종적인 체제변화를 의미하기에 대북정책의 결과를 제시하기 보다는 단계적 유연한 접근을 이명박 정부는 먼저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북관계는 정치․군사적 북한의 강경대응과 금강산관광․개성관광의 중단, 개성공단의 제한 등 경제적 교류가 경색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강경한 대응과 북미관계의 진전으로 인해 대내적으로 ‘통미봉남’ 상황의 전개를 우려하고 있다. 따라서 남북관계의 정상화를 위한 방법론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북한의 대내외 정책의 핵심은 체제유지에 있다. 미국으로부터 핵문제를 거론하면서 확보하려는 것도 김정일 정권의 유지에 있다. 남한과의 경협이 일정부문 유지되는 것도 체제유지에 있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남북관계의 정상화는 그리 어렵지도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까지 일정부문 유지되고 있는 남북경협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북한을 남북대화의 장으로 나오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북정책에 있어 전략적 유연성이 발휘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I. 문제 제기
 II.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의 변화
 III. 남북경협의 현황과 쟁점들
 IV. 대북경협의 방향과 과제 : 결론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병철 Park, Byoung-Chul. 동아대학교
  • 박동국 Park, Dong-Kuk. 동아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