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老柏齋 崔命喜의 學問과 思想

원문정보

老柏齋崔命喜的學問和思想

노백재 최명희의 학문과 사상

李炯性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노백재(老柏齋) 최명희(崔命喜)는 충청도 태안(泰安) 출신으로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문인이다. 그는 서구열강과 일인(日人)들의 침략 속에서 의연히 안빈호학(安貧好學)의 정신을 지키며 주경야독(晝耕夜讀)을 몸소 실천하였다. 특히 그는 독서와 경작을 리(理)와 기(氣)의 관계에 비유하여 하나이면서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라고 하였으니 이는 그가 독서와 경작을 성리학적 이론에 적용하면서 자신의 입지를 현실에서 충실히 실천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당시 어려운 환경에 처한 향촌사회에서 사인(士人)들로 하여금 독서를 통해 항심(恒心)을 배양시키고 경작을 통해 항산(恒産)을 갖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그의 정신은 궁벽한 향촌사회의 사인들에게 귀감이 되었으니, 태안일대에 간재학파가 형성된 것이 모두 그의 학문적 영향에서 연유한 것이었다.그의 학문은 주경주리(主敬主理)의 경향이었다. 그는 학문의 기본적 마음 자세를 ‘경’에 두었고, 이를 토대로 한 그의 성리설은 리를 주로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는 이전에 논쟁이 되었던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이나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에 대해 자신의 논지를 피력하지 않고, 주희나 전우의 성리설을 따르고자 하였다. 또한 그는 교육에 있어서는 학문론을 기초로 하여 지행양진(知行兩進)을 추구하였다. 최명희 자신 또한 앎과 실천을 양진하면서도 항상 자신을 속이거나 거짓됨이 없는 진실무망(眞實无妄)의 성(誠)을 배양하여 하늘을 아는 단계로 나아가고자 하였다. 이는 하늘과 마주하여 떳떳한 마음을 지니고자 한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자세는 ‘예(禮)’를 중시하는 경향으로 드러났으니, 그는 ‘예’의 실현을 통해 사람의 도를 극진히 하면서 천리(天理)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실천성 중시는 최명희 자신이 처한 현실에서 유교적 도덕을 실천하면서 향리의 사람들을 교화시키고 향촌사회의 도덕적 질서를 유지하고자 한 것이라 하겠다.

중국어

本論文考察了艮齋田愚之門人老柏齋崔命喜的學問和思想. 他在忠淸南道泰安, 展開了學問活動. 當時在西歐列强和日本的侵掠中, 他依然堅持安貧好學的精神, 還躬踐了晝耕夜讀. 他將讀書和耕作比喩成理和氣, 認爲兩者是一而二二而一的關係. 這樣, 他把讀書和耕作適用于性理學理論, 而在現實世界中充實地實踐了自身的立志. 他的精神使當時士人們通過讀書而培養恒心, 通過耕作而維持恒産.他的學問具有主敬主理的傾向. 他對學問的基本態度是致力于‘敬’, 性理說的主張是以‘理’爲主. 但他對以前人們論爭過的四端七情及人物性同異不披瀝自己的見解, 而想繼承朱熹和田愚的性理說理論. 在敎育方面, 他追求知行兩進. 他不但自己兩進知行, 而且培養眞實无妄的誠而想達到知天的境地. 這的確是面對天而抱持恒心的態度. 這樣的態度表現爲重視禮的傾向. 就是通過禮的實現而極盡人道、體現天理. 重視實踐的這樣的態度, 一方面爲了在他自己處的現實中實踐了儒敎道德, 一方面爲了敎化鄕里的人們而維持鄕村社會的道德秩序.

목차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老柏齋의 安貧好學的 生涯
  1) 世系와 生涯
  2) 安貧好學과 著述
 Ⅲ. 學問과 敎育論
  1) 主敬主理의 學問
  2) 知行兩進的 敎育
 Ⅳ. 性理認識과 禮論
  1) 朱子 性理說 尊信
  2) 禮重視와 天理發現
 Ⅴ. 결론
 < 참고문헌 >
 < 中文提要 >

저자정보

  • 李炯性 이형성. 전북대 B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