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M. 엑카르트의 인식론의 기본 개념

원문정보

die Erkenntnistheorie im M. Eckhart

이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ie Absicht der vorliegenden Arbeit ist es, die fundamentalen Begriffe der M. Eckharts Erkenntinistheorie zu erörteren. Eckhart unterscheidet normalerweise die folgenden Bereiche des menschlichen Erkennens: ① Den Berech der Sinneswahrnehmung und ② den Bereich der inneren Sinne bzw. des durch Teilhabe Vernünftigen oder ratio inferior und ③ den Bereich des diskursiven Verstandes oder der ratio und ④ ratio superior oder des intellectus. Also erörtert diese Arbeit diese fundamentale Begriffe.Letztliche Grund seiner erkenntnistheorie ist reiner intellectus des Gottes. Nämlich menschliche Vernunft univok intellectus, da sie den göttlchen intellectus in ihrer Leere so gänzlich aufnehmen vermag, daß sie nichts anderes ist als dieser. Das Menschliche Erkenntnisvermögen hinordnet auf das ihm Obere, nämlich auf Gott, oder auf das ihm Unten, nämlich auf das nichtendes Nichts. Menschen immer bewegt zwischen reinem intellectus des Gottes und Bereich der Sinneswahnehmung, die stiftet das Nichts. Also wichtig für Eckhart die Empfänglichkeit, das Zulassen, im Gegensatz zu allem Machen und Tun ist. Die höchste Form des Tun ist die Abscheidung von allem, was Empfänglichkeit hindert, als die Vorbereitung zu geistiger Empfängnis. Tun dient also dem Empfangen.Im diesen Arbeit, können wir verstehen, daß die Eckharts mystische Denken habe die eigentlichen, erkenntnistheoretischen Grund. Aber Gottheit ist einic ein, abgeschieden von aller Zahl und nicht auf die Zahl bezogen. Daher ist die Einheit Gottes dem erkenntnistheoretischem Grund gegenüber transzendent. Denn seine Erkenntnistheorie behandelt mit die Einheit von mehreren und Unterschiedenen, nämlich Differenz zwischen Menschen und Gott, also nicht Einheit schlechthin.

한국어

이 글은 M. 엑카르트의 신비주의에 이르는 이론적 통로를 밝히기 위해 그의 인식론의 기본 개념을 밝히고 있다. 엑카르트는 인간 인식의 단계적 영역을 ① 감각 지각 ② 참여를 통해 오성적인 것의 영역 또는 내적 감각의 영역 또는 하위의 오성 ③ 추론적 오성 또는 오성 ④ 상위의 오성 또는 이성 등으로 나누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이들 말마디의 기본 개념을 해명하고 있다.그의 인식론의 궁극적 거점은 신의 순수 이성이다. 신의 순수 이성과 인간 이성이 하나 될 때, 인간은 일의적으로 순수 이성이게 된다. 인간은 신적 순수 이성을 향해 위로도 향하지만, 감각적 외적 세계를 향해 아래로도 향한다. 위로 향할수록 우리는 내적 인간으로 상승하는 반면, 아래로 향할수록 우리는 외적 인간으로 하강한다. 인간은 신적 순수 이성과 감각 사이를 오가고 있다. 우리는 위를 향하기 위해 아래 것을 모조리 비워야 한다. 엑카르트는 수용성, 그리고 모든 힘과 행위에 반대해 그냥 놓아두고 있음(Zulassen)을 중시하고 있다. 이 점에서 그의 인식론은 극히 논리적이고 학문적인 아리스토텔레스나 토마스의 인식론과 달리, 인간의 종교적ㆍ실존적 경험을 반영하고 있다.이 작업은 엑카르트의 신비주의 사상이 나름대로 이론적 근거를 갖고 진행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시도된 일련의 작업 중 하나이다. 하지만 어떤 차이도 허용하지 않는 궁국적 통일성인 신성에 대한 논의는 그의 이론을 훌쩍 넘어서고 있다. 그의 신비주의 사상은 이론과 경험이 합쳐져야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감각 지각
 3. 내적 감각 또는 참여를 통해 오성적인 것
 4. 추론적 오성
 5. 상위의 오성 또는 이성
  1) 능동 이성과 수동 이성
  2) 일의적인 의미에서의 이성
 6. 나가는 말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부현 Lee, Boo-Hyun. 부산가톨릭대학교(Catholic University of Pusan)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