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효 교육의 체계론적 접근

원문정보

A Systemic Approach of Hyo Education

류한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I suggest another perspective to teach hyo(filial piety). Has hyo been rooted in Korean conscious, it is apt to teach hyo based on normative view in Korean context. However this approach have some difficulties to settle down a natural life pattern of hyo. In normative view it’s likely to neglect the complexity of hyo.
The complexity of hyo has been consisted of various elements interaction which is actual life narratives, characters made generation by generation, comprehensive properties throughout agent’s whole life, positive participation for parents life. So, a practical complex mechanism on hyo could be needed the approach of various elements interactive. I suggest a framework of ‘Hyo
Practice Network’ which pertain the complex mechanism. ‘Hyo Practice Network’ can put out a behavior simple and confident, a process of producting values through complex feedback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 dynamics of sustaining homeostasis and direction. In this study the elements of ‘Hyo Practice Network’ are ‘body’, ‘readings’, ‘expression’, and ‘truth’. This complex network has deep connection with a cultural experiences which are participated in by parents and children. I have concerned the ‘emergence’ and ‘self-organization’ to explain the cultural experiences conceptually.
Through this two concept of mechanism an agent who has been taught hyo can constructs concept of hyo in ‘Hyo Practice Network’ by oneself. Hyo education for youth should be a preparation for an adult who will act hyo mainly. We need to diversify educational methodology on teaching materials, and to deliberate the realizable curriculum, furthermore to find the supporting teacher interested in hyo education, to re-create teaching material constantly, to emerge and self-organize the Korean cultural capital through guarantee the connection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한국어

본 연구는 효를 가르치는 방법에 있어 체계론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효가 한국인의 정서에 깊게 자리하고 있고, 이러한 한국적 맥락으로 인해 효를 당위적 규범으로 접근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런 시각은 효를 생활 속의 자연스러운 삶의 패턴으로 뿌리내려 현대적 개념들과 어울리는 데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 이는 효의 복합적인 성격을 소홀히 여긴 것이며, 복합적 요소들간의 관계에 주목하는 체계론적 관점을 취한다.
효의 복합적 성격은 효가 갖는 실제적 삶의 이야기, 조부모 부모 자녀로 이어지는 세대적 특성, 행위자 맥락의 전체를 고려하는 포괄적 성격, 부모의 삶에 참여하는 자녀의 적극성 등 요소들간의 상호작용이다. 그러므로 효의 실천적 메커니즘 또한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연관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복잡한 실천적 메커니즘을 담아낼 수 있는 방법적 틀로서 효실천 연결망을 제시한다. 효실천 연결망은 행위자의 간단하고 명확한 행위, 부모와 자녀의 복잡한 피드백을 통해 가치를 발생하게 하는 과정, 항상성과 지향성을 유지하는 역동성을 산출한다. 이런 관점으로 본 연구에서 효실천 연결망의 요소들을 몸, 판독, 표현, 진리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복잡한 연결망은 행위자 즉 자녀와 부모가 참여하는 삶의 문화적 체험과 깊게 연관된다. 문화적 체험의 주된 개념으로 창발과 자기조직화 개념이 요구된다.
효 교육에 이 두 개념을 도입하여 효 개념을 행위자 스스로 재구성하게 한다. 청소년의 효 교육은 성인이 되어 효의 주체자가 되기 위한 준비 교육이 되어야 하며, 교육 방법상 교재의 다양화를 모색하고, 학교 교육편재 상 가능한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그리고 효 교육에 관심있는 교사 지원 방안, 교재의 지속적 재창작, 조부모와 연계성 확보 등을 통해 한국의 문화자본을 창발, 자기조직화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효의 인식전환을 위한 체계론적 접근
  1. 효 인식망의 구축 : 보편화 가능성의 효윤리체계
  2. 효의 맥락성과 복합성
  3. 효의 역동성 : 효실천 연결망
 III. 효 교육의 연결망 구축
  1. 도덕․윤리과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원리
  2. 효 교육의 작동원리
 IV. 청소년의 효 교육 방법
  1. 효 교육의 방법적 전환
  2. 효실천 연결망의 구체화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류한근 Ryu, Han Keun.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