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효 콘텐츠와 효 문화브랜드

원문정보

The Hyo contents and the Hyo brand culture

선미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to study the Hyo contents and the brand culture. We need academic
alternatives resisting against relative collisions caused by emphasizing on
regional tradition, independence and creativity in a historical basis, that is,
against international violence such as a discord, heterogeneity, uncompromise,
and noncooperation. For this, we suggest the concept of Hyo(filial piety) as a means to find a solution, which is made as a brand. Original human desire for peach and wellbeing is combined with universal emotion of contemporary
people, which is observed through a brand strategy.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s a few conditions and components of the brand centering on
cultural archetype, symbolism and creativity, and uses the creative structure of Hyo brand from seven biblical Hyo elements. This study drives the productive process of Hyo brand from cultural archetype and Bachelard’s literary imagination. In other words, cultural brand is a cultural ceremony that needs a series of processes and a result of cultural contents. For the cultural archetype is a concentration of ceremonies that began with the beginning of human beings, and cultural contents are a product of desire expressed with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civilization. Finally, as the spirit of Hyo that emphasizes the identity of Hyo as a communal society of human beings is based on love for humanity such as Sinbonsasang(God-oriented thought), Saengmyeongsasang(life thought) and Hyo-boksasang(filial piety and good luck), it has common contents with Hyo for humanity developed by UNESCO, the developmental Hyo by OECD, and in international relationship with ASEM, EU, and WB, which indicates that the world desires a cultural brand based on Hyo.

한국어

이 논문은 효 콘텐츠와 효문화 브랜드에 대한 연구이다. 시대적으로 지역의 전통성과 독자성 그리고 창조성을 강조하는 가운데 빚어지는 상대적 충돌들, 예를
들면 불협화음, 이질감, 비타협, 비협동과 같은 국제적 폭력양상에 대한 대안이 학
문적으로 필요한데, 이 작업은 이를 위한 해결 방안으로서 효의 개념을 상정하고
있으며, 그 콘텐츠를 브랜드화하여, 평화와 안녕을 추구하는 인류의 본원적 욕망이
현대인의 보편적 정서와 결합하고 있음을 브랜드전략을 통해 관찰하고 있다. 이러
한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콘텐츠가 되는 몇 가지 요건과 브랜드가 되는 몇 가지 구성요소를 문화원형성과 상징성 그리고 영원성과 창조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으며, 효브랜드의 창조적 구조를 7가지의 성경적 효 요소에서 차용하고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 효브랜드의 생산과정을 문화원형성과 바슐라르의 문학적 상상력에서 그 근간을 도출하고 있다. 다시 말해 문화 브랜드는 일련의 과정을 필요로 하는 문화의식이며 문화콘텐츠의 결과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문화원형성은 인류의 시작과 함께 시작되는 의식의 결집체이며, 문화콘텐츠는 문명의 발전사와 함께 표출되는 욕망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결국 인류 공동체로서의 효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효의 정신은 신본사상과 생명사상 그리고 효복사상등과 같은 인류애적 사상을 그 근본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이는 UNESCO의 인류애적 효사상과 OECD의 발전적 효사상 그리고 ASEM과 EU, WB등과 같은 국제적 관계에 있어 서도 공통적인 콘텐츠를 이미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곧 세계인이 필요로 하고 있는 효를 통한 문화브랜드가 이미 전 세계적으로 요구되는 현상임을 알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효문화 브랜드의 근간이 되는 신화적 설화적 종교적 양상
 Ⅲ. 효문화 콘텐츠의 요소
 Ⅳ. 효콘텐츠의 효문화 브랜드 전략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선미라 Sun, Mi Ra. 전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