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 집>

북한의 범죄 실태와 보안(경찰)기관의 대응책

원문정보

The Criminal Case of North Korea and Police Countermeasures against its Crimes

김윤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ntil recently, North Korea has propagandized that it is not a hierarchical society, there is no crime and therefore it is 'the paradise on earth'. But the collapse of other socialist states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the death of Kim Il-Sung (the former leader of North Korea) and serious food shortages have changed the mind of the North Korean people. A growth in Individualism and complaints against their government has spread. Eventually, a large deviation away from juche" [self-reliance] ideals has occurred. For example, In North Korea a large number of crimes have been committed, including not only the “expected” political crimes (such as anti-government moves, coup attempts and libels made against the leader) but also general, everyday “for-profit” crimes (such as theft, juvenile delinquency, sex crimes, drug crimes and various money-making schemes. In response, the North Korea Government says these crimes occur because of some foreign bourgeoisie influences upon the people, and not because of North Korea's socialist policies. Thus, North Korean police make efforts to prevent and suppress such crimes by means of orders, decrees, and social control. Nevertheless, if the economic problems of North Korea continue and the unemployment rate becomes too high, people in poverty may come to complain of the government without hesitation. Furthermore, if North Korea’s rulers cannot overcome those social-economic problems, the people might well lose trust in “their” government; their protests against the government's measure of controlling crimes will increase. As a result, such a rapid increase in general crimes would be a factor threatening the present structure of North Korean society.

한국어

북한은 그들 체제를 ‘계급으로부터 해방’된 범죄 없는 ‘지상낙원’으로 선전해 왔던 것과는 달리 사회주의국가들의 몰락과 김일성의 사망 그리고 극심한 식량난은 북한 주민들의 의식구조를 크게 변화시켜 사회주의 체제에서는 허용될 수 없는 개인주의와 주민들의 불평, 불만이 확산되어 사회이탈현상 증가되고 있다. 즉, 북한 사회 역시, 반체제사건, 쿠데타 시도, 지도자 비방 등 정치범죄를 비롯하여 절도범죄, 청소년범죄, 성범죄, 마약범죄, 자본주의문화 반입 및 유포죄 등 일반범죄가 빈발하게 발생하고 있다. 북한은 범죄발생 원인을 체제외적인 요인으로 책임을 전가시키는 한편, 북한경찰은 범죄단속 지시나 포고령, 범죄단속 기구 등을 동원하여 범죄예방과 단속에 부심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당국이 당면한 경제난에 따른 주민들의 상대적 빈곤과 박탈감 그리고 실업률 증가에 따른 불평, 불만에 대한 한계를, 그들 스스로 극복하지 못하게 되면 주민들의 저항에 부딪쳐 범죄대책의 실효성은 기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범죄가 급증하여 체제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 론
 Ⅱ. 북한의 범죄 개념과 유형
  1. 범죄의 개념
  2. 범죄의 유형
 Ⅲ. 북한의 범죄 실태
  1. 정치범죄
  2. 일반범죄
 Ⅳ. 북한 보안(경찰)기관의 범죄대책
  1. 범죄단속 포고령과 지시
  2. 보안기관의 범죄단속 기구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윤영 Kim, Yoon-Young.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Research Fellow, Police Science Institute)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