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부산지역 지역용도별 해안과 내륙의 PM10 농도 특성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PM10 concentration at seashore and inland according to land-use in Busan

전병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PM10(particulate matter with aerodynamic diameters less than 10㎛) concentration according to land-use in Busan coastal area. Fine particle is affected by emissions, geographical condition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 case industrial area, Gamjeondong(inland) PM10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Noksandong(seashore) at all season except for Summer. Primary peak at Gamjeondong cleared than Noksandong in Fall and Winter. In case green area, Daejeodong(inland) PM10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Dongsamdong(seashore) at all seasons. In case commercial area, primary peak occurrence time at Jeonpodong lagged one hour according to season and diurnal change of PM10 concentration at Gwangbokdong was higher than Jeonpodong in Spring. In case residential area, high PM10 concentration(80~90㎍/㎥) lasted for six hours during the daytime in Spring at Deogcheondong and Yongsuri(inland).

한국어

본 논문은 부산지역의 지역용도별 PM10(입경 10㎛미만의 크기를 가진 먼지입자) 농도의 특성을 고찰하기 수행되었다. 미세먼지는 배출량, 지형조건 그리고 기상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공업지역의 경우, 내륙인 감전동의 PM10농도는 여름철을 제외한 모든 계절에서 해안인 녹산동보다 높았으며, 1차 peak가 가을철과 겨울철에 명확하게 나타났다. 녹지지역인 경우, 내륙인 대저동의 PM10농도는 해안인 동삼동보다 모든 계절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상업지역의 경우, 내륙인 전포동에서 primary peak를 나타내는 시각이 계절에 따라 1시간씩 지연되었으며, 해안인 광복동은 전포동보다 봄철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주거지역의 경우, 내륙인 덕천동과 용수리에서 봄철에 고농도의 PM10(80~90㎍/㎥)이 6시간동안 지속되어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자료 및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용도지역별 PM10의 특성
  3.2 동일한 용도지역에서의 해안지역과 내륙지역 PM10 농도 특성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병일 Byung-Il Jeon. 정회원, 신라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