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상남도 연안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원문정보

Vascular Plants in Coastal Wetland in Gyeongsangnam-do, Korea

유주한, 박경훈, 윤영철, 송봉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coastal wetland is the important area of diverse biodiversity as a transitional zone between coast and land. The results of surveying the flora were recorded as 310 taxa; 85 families, 212 genera, 278 species, 27 varieties and 5 forma. The halophytes were 14 taxa; Atriplex gmelini, Salsola komarovii, Suaeda asparagoides and so forth. The hydrophytes and hygrophytes were 23 taxa; Boehmeria spicata, Persicaria hydropiper, Persicaria japonica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0 taxa; Fagopyrum esculentum, Rumex crispus, Chenopodium ambrosioides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for the floral region were 28 taxa; Pteris multifida, Cyrtomium fortunei, Dryopteris erythrosora and so forth. In future, the flora of coastal wetland will be analyzed in series, and community dynamics and species composition for the halophytes will be studied.

한국어

연안습지는 바다와 육지의 전이지대로서 다양한 생물종다양성을 가진 중요한 지역이다.식물상 분석 결과, 85과 212속 278종 27변종 5품종 등 총 31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염생식물은 가는갯능쟁이, 수송나물, 나문재 등 총 14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수생 및 습생식물은 좀깨잎나무, 여뀌, 흰꽃여뀌 등 총 23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메밀, 소리쟁이, 양명아주 등 40분류군이 조사되었고 평균 귀화율 및 도시화지수는 각각 17.9 % 및 3.67 %로 분석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봉의꼬리, 쇠고비, 홍지네고사리 등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향후 연안습지의 식물상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해야 할 것이며, 염생식물에 대한 군락 동태 및 종조성에 대한 조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지
  2.2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분포 식물상
  3.2 염생식물
  3.3 간척호식물
  3.4 귀화식물
  3.5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유주한 Ju-Han You.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조교수, 조경학박사
  • 박경훈 Kyung-Hun Park. 정회원,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조교수, 조경학박사
  • 윤영철 Young-Chul Yoon. 창원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공학석사과정
  • 송봉근 Bong-Geun Song. 창원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공학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