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國思想

18세기 喪ㆍ祭禮 실천과 宗統의 이상 - 星湖 李瀷의 承重ㆍ立後 논의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ractice of Funerary and Ancestor Memorial Service and the Theory of Jongbeob in the Eighteenth Century : Focusing on Seongho Lee Ik(星湖 李瀷)'s Discussion on Seungjung(承重) and Yipbu(立後)

18세기 상ㆍ제례 실천과 종통의 이상 - 성호 이익의 승중ㆍ입후 논의를 중심으로 -

김남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looks into the Confucius customs of Yiphu and Seungjung, that is respectively a problem of deciding the successor of the family and a matter of establishing Jongtong (宗統: the proper inheritance line of the family), especially concerning the funerary and ancestor memorial services through Seongho Lee Ik's discussion on proprieties, whose Yeahak (禮學: Studies on Proprieties) is representative of the eighteenth century Yeahak. Seongho Lee Ik sees that there is one penetrating principle that should apply the same concerning Jongtong, regardless whether it is for the state or for a family or whether it is for the royal family or for the gentry in or out of the state service. To establish this one penetrating principle, he emphasizes the manners that fit one's circumstance and social standing, proposed as the theory and practice of 'Seoin-garyea (庶人家禮: Proper customs that even common people with no official titles can practice in marking their important life events like coming-of-age, marriage, and death)'. These two aspects of Seongho seem at odds with each other at a glance. Yet given that he considers that keeping proprietary manners for their own social standings would help secure the fundamental social order, which is of supreme importance to him, it makes sense. Next, the most problematic issues about Seongjung and Yiphu are the timing when one can declare the 'absence of the patriarch' and the manner how one substitutes oneself for the absent patriarch. Seongho sees that it is one thing to 'inherit the Jongtong' and it is another to 'become a next patriarch'. Basically, he does not separate the problem of Jongtong by one's social standings. The real situation involved can be different based on one's social standing, he readily acknowledges. Yet, 'the unchangeable ethical principle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would prevail over the same regardless of classes, he insists. This attitude of his is in line with his philosophy of proprieties and his practical guidance that proposes 'Seoin-Garyea' with an appeal to establish fundamental social order based on the practice of proper manners in accordance of one's social standing as he philosophizes the rules of Jongtong on the base of the one penetrating principle.

한국어

이 논문은 18세기에 예학을 대표하는 인물인 星湖 李瀷의 예설 중 喪祭禮와 관련하여 立後와 承重, 곧 한 가문/국가의 후사를 세우고 宗統을 계승하는 문제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호 이익은 종통의 문제에서는 국가와 개인, 황실과 대부, 서인에게 모두 동일하게 적용해야 할 大一統의 원리가 있다고 보았다. 성호는 이러한 대일통의 논리를 세우기 위해 각 계층마다 신분과 현실적 여건에 맞는 예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庶人家禮’의 이념과 실천을 내세웠다. 각 계층이 신분에 맞게 예를 실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회의 기초 질서를 세우고 사회를 통합하는 길이라 여겼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해할 수 있다. 다음의 논제로 승중, 입후와 관련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가장의 부재’를 선고하는 시점, 그리고 이와 맞물려 누군가 그 가장의 부재를 대신하는 방식에 관한 문제였다. 성호는 왕실이든 가문 내에서든 ‘종통을 잇는다는 것’과 ‘아버지의 후사가 되는 것’은 다른 문제라고 보았다. 성호는 기본적으로 종통의 문제를 왕실과 대부, 사서인 등 계층에 따른 별개의 문제로 구분지어 생각하지 않았다. 왕실과 대부, 그리고 사서인에게서 후사의 문제는 현실적으로 그 양상이 다를 수도 있지만, 성호 이익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할 수 없는 父子의 윤리’가 관통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는 그가 大一統의 宗統의 논리를 세우는 한편, 이를 계층별 예의 실천을 통해 사회의 기본 구조를 확립해야 한다는 뜻에서 ‘서인가례’의 정신을 주장했던 예 정신 및 실천의 맥락 위에 서 있는 것이다.

목차

논문 요약
 I. 18세기 예담론의 전개와 星湖 李瀷의 예학
 II. 庶人家禮의 예학 정신과 一統의 종법 이념
 III. 服制와 宗統의 이원화 : 입후와 승중의 문제
  1. ‘統’의 승계와 服制 : 承重한 자의 정체성
  2. 가부장의 ‘부재’와 傳重의 대상, 범위
 IV. 맺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남이 Kim, Nam-Yi. 부산대학교 HK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