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韓國思想

조선전기 習陣과 군사훈련

원문정보

The Study of Military train through Soupjun in Early Joseon Dynasty

곽낙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aims to investige how Soupjin, military training has been changed in early Joseon Dynasty. The conclusions are following these. First, Jin means military marching or attacking the enemy and Jinbeop means how to make Jin or traning but now Jinbeop indicates textbook of Jinbeop rather than practing it. Second, publishing Owijinbeop is comple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series of Jinbeop textbook and Owi systems are built up by military construction reorganization. Third,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is 268 from Taejo to Seonjo in early Joseon Dynasty. They are divided into different parts according to kings. Forth, Taejo, Taejong, Munjong, Sejo, Yejong and Jungjong are the kings who take the lead of Jinbeop training directly. Among them Munjong and Sejo are highly considered that they edited and revised Sinjinbeop and tried to unify military organization. Besides Jungjong discussed Jinbeop textbooks which are published by prior kings and even make them be practiced. But after Imjinwaeran, Seonjo accepted the book Gihyosinseo by Cheokgyegwang in China and transformed our Jinbeop for protecting the country. Firth, We found that Hyangmyung and Jintoigyjak had been focused from Sejo to Jungjong. Because in this period Joseon had to find the way to protect the country from north Yeojin, But after Imjinwaeran Seonjo introduced Cheokgyegwang's Jeolgangjinbeop in China because of Japanese attack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전기 군사훈련인 習陣이 어떠한 모습으로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習陣’은 진법훈련 또는 진법교련의 뜻으로 정의할 수 있다. 둘째, 오위체제와 󰡔五衛陣法󰡕의 간행은 군제조직의 개편과 진법교범서들의 지속적인 편찬 속에서 하나의 종합적인 결과물로 완성된 것이다. 셋째, 조선전기 태조부터 선조대까지의 진법 내용의 총 기사 수는 268개이며, 이를 왕별로 세분하면, 태조 2개, 태종 2개, 세종 23개, 문종 20개, 단종 11개, 세조 70개, 예종 7개, 성종 25개, 연산군 4개, 중종 50개, 선조 54개이다. 이 내용을 살펴보면 역대강무제도, 진법훈련, 친열, 오진법 편찬 시행, 진법 사목 논의, 진법훈련 절차개선, 진법서적편찬, 신진법 완성 및 반포, 진법훈련조목 개선, 진법강론, 진법능부, 진법열병, 진법훈련정지, 척계광의 절강진법, 기타 등 15개 항목으로 추출할 수 있다. 넷째, 태조, 태종, 문종, 세조, 예종, 중종은 신하들에게 직접 진법훈련을 지시하고 주도한 국왕이었다. 이 중에서 문종과 세조는 신진법인 󰡔五衛陣法󰡕을 편찬, 개정하고 군사조직의 일원화를 꾀한 점이 높이 평가할 만하다. 이외에 중종은 역대 국왕들이 편찬한 진법교범서를 강론하고 훈련시킨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선조는 중국의 척계광이 지은 󰡔紀效新書󰡕를 받아들여 남방의 왜구를 방비하는 진법으로 전환시켰다. 다섯째, 진법훈련을 통해 알 수 있는 변화는 세조대부터 성종, 예종, 중종까지 형명과 진퇴좌작을 강조하였다. 이는 조선 건국 후 북방의 기마병에 대한 방비책으로써 진법훈련이 시행되었다. 반면,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선조부터는 남방의 왜구를 효과적으로 방비하는 척계광의 절강진법이 수용되면서 새로운 진법체제로의 전환이 모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조선의 침략방어대상이 북방에서 남방 왜구로 변화되었다는 점과 기존의 북방기마병을 막는 전술인 오위진법체제로는 수군과 보병위주인 왜구를 막을 수 없다는 것이 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I. 머리말
 II. 習陣과 陣法의 연원
 III. 『陣法』의 간행과 五衛體制의 성립
 IV. 陣法의 변화추이와 그 성격
 V.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곽낙현 Kwak, Nak-hyun.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