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교사변인들과 학생변인들이 고급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연구

원문정보

The Effect of Teacher Variables and Student Variables on Higher Order thinking

이광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imed to find the effect of teacher variables and student variables on higher order thinking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study has performed investigations into the literature and research with a questionnaire to analyze teacher variables and student variables that have related to the promotion of higher order thinking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We have distributed it among 166 teachers, 166 students of the 3rd, 4th, 5th, and 6th grades. we have collected their replies, analyze the data for this stud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eacher variables and student variables made effects on higher order thinking. Second, teacher variables and student variables explained 2%, 28.1% to higher order thinking. All of those variables explained around 30.1%. We should search for effective factors of teaching-learning to promote higher order thinking.

한국어

사회과교육은 학습자들이 사회현상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사회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서 합리적 의사결정능력을 강조한다. 이 합리적 의사결정능력이 바로 일종의 고급사고력이다. 사회과 수업에서 교사들은 이러한 고급사고력 신장을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교사들은 수업에서 의사결정능력, 비판적 사고력, 창조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합리적 사고와 추리 등 기본 사고기술 이상의 것들을 사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급사고력과 관련된 교사변인들과 학생변인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고급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밝혀 고급사고력 신장을 도와주는데 있다. 설문지 구성은 교사변인들과 학생변인들을 유목화하여 각 7문항, 고급사고력 측정용 4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이 설문지를 광주·전남지역의 교사 166명, 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배포했고,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모델은 고급사고력 점수의 30.1%를 설명한다. 고급사고력 점수에 있어서 학년이 20.5%를 설명하고, 학생성별변인이 3.3%, 자료준비변인이 2.3%, 의견제시변인이 2.0%, 교사성별변인이 2.0%를 설명한다. 이는 p<.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학습환경변인 중 교사 변인이 실제로는 고급사고력에 별로 영향을 주지 못했다. 교사변인들 중 유일하게 교사의 성별이 고급사고력에 2% 정도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생변인들은 고급사고력을 28.1% 정도 설명한다. 이런 점에서 교사변인보다는 학생변인이 사고력 향상에는 훨씬 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고급사고력 향상에는 학년이 주요한 변인이고, 학생의 성별과 수업 중 의견제시횟수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고급사고력과 관련된 교사변인들, 학생변인들을 토대로 학교 수업을 통해 고급사고력을 더욱 신장시켜야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고급사고력의 의미와 종류
  2. 사회과교육에서 고급사고력의 중요성
  3. 고급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변인
  3. 다중회귀분석모형
  4. 자료의 처리
 IV. 결과분석과 논의                                                                                                                   
  1. 교사변인들과 학생변인들이 고급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2. 고급사고력과 관련된 교사변인들
  3. 고급사고력과 관련된 학생변인들
 V.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광성 Lee, Kwang Sung. 광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