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國 唐宋 勅牒 樣式의 變化

원문정보

The Changes of Form on Chikcheop in Tang and Sung

중국 당송 칙첩 양식의 변화

沈永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orm on Chikcheop which is document in Tang and Sung period. We demonstrated that the Chikcheop in Tang period had been used for the smallest work among the Wangun. The documents were managed through an approval by the emperor presented by the Gwanbu (government organization) or Gwanin (government official), which were subsequently delivered to the Chungsŏmunha. Chungsŏmunha consisted of replying form to Gwanbu or Gwanin as the form of Cheop. Consequently, the Chungsŏmunha wrote all contents at the head form (冒頭) and successively entered all sanctioned articles in Cheop style. The document finally became effective by inscribing the names and the titles of the premiere officials (具官姓名). There was recorded family and given name (姓名) on the signature part of minister in the Chikcheop of Tang period. On the contrary, there was recorded only family name on the signature part of minister in the Chikcheop of Later Tang period. Even under the Northern Sung's sovereignty, the Tang's Chikcheop document system was equally in place. However, the names of the premiere officials followed the tradition of the Five Periods and only recorded their surnames. These forms of Chikcheop were equally continued until Wonpung official regulation. Northern Sung dynasty attempted to return to samsŏng(three chancelleries) Yukpu(six ministries) as the reform of the party's control Wonpung. Northern Sung dynasty reformed many systems including the document management system. With the reform of the Wonpung govnernment regulations, the Chikcheop that was once issued at the Chungsŏmunha was turned over to the Sangsŏsŏng (Secretariat for State Affairs). Therefore, prime ministers changed to gwanwon of the Sangsŏsŏng. Also, Gwanins changed to Sangsŏsŏng‘s seal from Chungsŏmunha's seal.

한국어

이 글은 중국 당송(唐宋) 시대의 문서의 하나인 칙첩(勅牒) 양식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당(唐)의 칙첩은 왕언(王言) 중에서 가장 작은 일[小事, 細事]에 사용하는 문서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문서의 운용은 관부(官府)나 관인(官人)의 상주에 대하여 황제가 재가를 하여 중서문하(中書門下)에 내려 준다. 중서문하는 다시 첩(牒)의 양식으로 상주한 관부나 관인에게 회답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때 중서문하는 상주한 내용을 모두(冒頭)에 적고 첩식 양식으로 재가한 내용을 그 다음에 적고 연월일 뒤에 재상들의 구관 성명(具官姓名)을 기입함으로써 문서는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오대(五代) 후당(後唐)의 칙첩은 재상들의 서명(署名) 부분이 당의 칙첩에는 성명(姓名)을 기록한 반면에 후당에서는 성(姓)만을 기록한 것이 다른 점이다. 북송(北宋)에 들어와서도 여전히 당의 칙첩 양식과 동일한 문서양식을 운용하였지만 재상들의 서명 부분은 오대의 전통에 따라 성(姓)만을 기재하였다. 이러한 칙첩의 양식은 원풍(元豊) 관제 이전까지는 동일하게 지속되었다. 북송은 원풍 관제의 개혁으로 다시 당의 3성(省) 6부(部)의 체제로 돌아가고자 하였다. 이때 여러 제도를 개혁하였는데 문서의 운용도 그 중의 하나였다. 원풍관제의 개혁으로 이전의 중서문하에서 발급하던 칙첩은 상서성(尙書省)에서 발급하게 되었다. 따라서 재상들도 상서성의 관원들로 바뀌고 관인도 중서문하지인(中書門下之印)에서 상서성지인(尙書省之印)으로 바뀌었다.

목차

요약문
 1. 서언
 2. 당․오대의 칙첩
  2-1. 당의 칙첩
  2-2. 오대의 칙첩
 3. 송의 칙첩
  3-1. 원풍 관제 이전의 칙첩
  3-2. 원풍 관제 이후의 칙첩
 4.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沈永煥 심영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학자료조사실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