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후기 王士禎 神韻 詩論 수용 양상 - 漢詩 四家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cceptance Types of Wang Sa-jung's, Sinun (神韻: mysterious rhythm) Poetics - Focused on four masters of Chinese poetry -

조선 후기 왕사정 신운 시론 수용 양상 - 한시 사가를 중심으로 -

박종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18C, Chinese poetry was by characteristic composing poems through pursuing new poetical styles and breaking from the convention. This phenomenon was an inevitable result that brought about development processes of Chosun Chinese poetry history. Also new poetical styles of China acted upon that result as a catalyzer. Park Je-ga, You deuk-gong, Lee deok-mu, and Lee Seo-gu centered on new poetical styles. They positively accepted Sinun and unfolded their unique poetic styles. Wang Sa-jung spoken for an unworldly propensity been distant from the reality. Also he tried to correct abuses of narrow-minded poetical circles in those days. Therefore he promoted theory of Sinun. Sinun spoken by Wang Sa-jung was an abstract concept which meant mysterious rhythm. Its sketchy feature affected Umwo's (以禪喩詩) and (興趣) is pursuing (言外之味). For this, he sang of a state of unworldliness been distant from the reality in contents. Then he looked to the nature to express pure mind and borrowed clean images of natural things as materials. In a form, he selected new special methods(新奇) that he described mind joined together natural things and he indicated his personality in his poems. So features of Sinun are description brimming with the feeling of movement and careful delicate accounts. Lee Ui-hyun was interested in Wang Sa-jung's poetics. In addition, Lee Byoung-yeon was interested in the poetics and it reached the period of prosperity in period of four masters. After that it affected on poetical circles of Chosun continuously, they critically accepted Sinun. Also poems which borrowed rhythm of Wang Sa-jung's works were written consistently. This fact showed concerns about Wang Sa-jung's poems and poetics of Sinun.

한국어

18세기 한시는 이전의 시풍에서 과감히 탈피한 새로운 시풍의 추구를 통해 개성적인 시작(詩作)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조선 한시사의 내재적 발전 과정에서의 필연적인 결과였으며, 중국의 새로운 시풍이 촉매제로 작용한 결과이기도 하다. 새로운 시풍의 중심에 있었던 박제가(朴齊家), 유득공(柳得恭), 이덕무(李德懋), 이서구(李書九)는 왕사정(王士禎)의 신운설(神韻說)을 적극 수용하면서도 자신만의 독특한 시풍을 전개했다. 왕사정은 현실에 일정 정도 거리를 둔 탈속적인 성향을 드러냈다. 또한 당대의 편협한 시단의 폐단을 바로 잡기 위해 노력했는데, 이 두 경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신운설을 주창하게 된 것이다. 왕사정이 말한 ‘신운’은 ‘신묘(神妙)한 운치(韻致)’로서 다소 추상적인 개념이다. 그 대략적인 특징은 엄우(嚴羽)의 ‘이선유시(以禪喩詩)’와 ‘흥취(興趣)’에 영향을 받아 ‘언외지미(言外之味)’를 추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용면에서는 세속과 일정 정도 거리를 둔 탈속의 경지를 노래했고 욕심 없이 맑고 깨끗한 내면을 표현하기 위해 자연에 시선을 돌리고 자연경물의 청원한 이미지를 소재로 차용했다. 표현에 있어서는 자연경물과 어우러진 내면을 담담하고 자연스럽게 그려내면서도 그 속에 자신만의 개성이 함축되어 있는 새롭고도 독특한〔新奇〕방식을 채택했고, 흥취를 구가할 수 있는 생동감 넘치는 묘사와 정교하고 세심한 기술이 왕사정 신운설의 특징이라 하겠다. 이러한 왕사정의 시론에 관심을 갖은 사람은 이의현(李宜顯)이다. 이병연(李秉淵) 등에 의해 관심의 초점이 되었고 四家에 이르러 전성기를 구가하게 된다. ‘사가’는 왕사정의 작품에 직접 차운하거나 의식한 상태에게 적지 않은 작품을 남겼다. 그렇다고 해서 무의식적인 상태에서의 답습이나 모방을 일삼은 것은 아니다. 회화․음악 측면의 강화나 조선적인 풍물을 작품 속에 그대로 담아내는 등 자기화의 과정을 통해 개성적인 작품을 양산했다. ‘사가’ 이후에도 왕사정과 그의 시론은 조선의 시단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王士禎과 神韻說
 3. ‘四家’의 神韻說 수용 양상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종훈 Park Chong-hoon. 한양대 강사,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