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從‘拙’字來看文學議論之樣貌 -以申湜之用拙齋有關記文爲例-
‘졸’을 통해 본 문학 담론의 한 양상 -신식의 용졸재에 관한 기문을 중심으로-
초록
한국어
이 글은 신식(申湜)의 용졸재(用拙齋)를 대상으로 비슷한 시기에 작성된 일련의 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졸(拙)’의 의미를 추적함으로써, 그 문학적 담론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고대 중국의 문헌에 나타나는 졸은 본래 졸렬함, 어리석음, 서툶과 같이 기예적 차원에서 하등한 수준을 표현하는 말이었다. 그러나 차츰 자연의 규율에 순응하는 삶의 다른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마침내 심성론적 차원에서 우월한 가치를 지닌 개념으로 인식되었다. 진(晉)의 반악(潘岳)과 도잠(陶潛), 당(唐)의 두보(杜甫)의 시문에 나타나는 졸이 바로 그것으로, 초월․탈속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던 졸의 개념은 송대(宋代)의 신유학에 의해 다시 한 번 유학적 변용을 겪게 되는데, 학문과 수양의 측면에 국한하여 그 의의를 인정받았을 뿐, 인간이 지향해야 할 궁극적인 삶의 목표로 받아들여지지는 못했다. 성리학적 사유에 기반한 조선중기 문단의 풍정 또한 이와 다르지 않았으므로, 영달한 관료에게 부여된 졸이라는 명호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었다. 최립(崔岦)과 홍가신(洪可臣)의 경우, 시대의 이데올로기였던 성리학의 입장에서 매우 완고하고 사변적인 방법으로 심성론적 의미를 설명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에 반해 유몽인(柳夢寅)과 이수광(李睟光)은 《한비자》‧《열자》‧《장자》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유가와 도가의 분별이 소거된 무한히 긍정적인 가치가 담긴 개념으로 사용하였다. 이처럼 졸은 조선중기 문단에서 문학적 담론의 하나로 뚜렷하게 기능하고 있었으며, 각각의 입장과 시각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재해석되거나 부연되는 등 폭넓은 스펙트럼을 확보하고 있었다.
중국어
本文以申湜之用拙齋爲研究對象,追蹤其他相近時期所寫成的相關文章當中所共通出現的‘拙’字意義,並且探究其中文學議論的樣貌。在中國古代文獻當中所出現的‘拙’字,其原本意思爲拙劣,愚笨,魯鈍以及在技藝上的表現平庸或是水準低落。但是在生活順應自然規律之下其意義在使用上逐漸有所改變,最終在心性論的領域當中被認知爲具有優越價值的概念。晉朝的潘岳以及陶潛、唐朝的杜甫在詩文上所表現出的‘拙’就具有此意,含有超越、脫俗之意涵。不過,到了宋代新儒學時期,‘拙’字的概念再次經歷改變與修正,只在學問以及修養的層面認定並侷限其意義,在人類生活的最終意義或是目標當中並沒有明確界定。朝鮮中期文壇之風情以性理學為基本思維,對‘拙’字的認定也並未跳脫此框架,在達官顯要官僚當中所賦予的‘拙’字名號,該如何做解釋,已經成爲當時重要的課題。以崔岦與洪可臣爲例,在時代意識形態性理學的洪流當中,不遺餘力的以頑固和思辨之方式來說明心性論之意義。反之,柳夢寅和李睟光則活用《韓非子》、《列子》、《莊子》等言論,積極消除區隔儒家以及道家差異,無限肯定其中價值概念。如上所述,‘拙’字在朝鮮中期的文壇,明顯成爲一股文學議論的思潮,並具有其機能,根據各家的立場和視角的不同,以多樣的方式做再次解釋或是延伸其意義,可謂確保了廣闊的。
목차
1. 들어가는 말
2. ‘拙’ 개념의 생성과 변화
3. ‘拙’ 개념의 문학적 담론화 양상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중문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