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Theory of Poetry-Creation in Yaksan Oh Gwang-un
약산 오광운의 시창작론 - <시지>를 중심으로 -
초록
영어
Yaksan(藥山) Oh Gwang-un(吳光運) was a literati of the early 18th century who represented the Geungi Namin(近畿南人). He displayed the consciousness of a man of high birth (士大夫) toward Wihang literati through the preface and epilogue in Sodae pungyo(昭代風謠), a collection of selected poems by Wihang poets. He also distinguished himself by delineating his own literary theory and a short critique of past Chinese literati in munji(文指), siji(詩指), and buji(賦指) as well as producing works with social and historical issues as subjects.
By continuing the ideological tradition of Misu Heo Mok, head of the Geungi Namin, Yaksan developed a literary theory that has its foundation on the Six Classics. Thus, he set forth a systematic literary theory that attempts to find the Way in everyday life and embodied this through literary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Yaksan emphasized the cultural sense of sovereignty, which led to emphasis on individuality in poetic learning. "siji" is a collection of writings which discusses Yaksan's theory on poetry. In this collection, he presented distinguished poets who represented each poetic style, six requisites which must be included in a poem, and six items to be cautious of. The six requisites are "gak(格), jo(調), jeong(情), seong (聲), saek(色), and chwi(趣)" which can be interpreted as each poem's formalities, harmony of musical essence, contents of artistic formation, musical suggestiveness, images of the mind, and suggestiveness of images of the mind. Yaksan considered especially jeong and chwi among the six requisites.
In addition, Yaksan chose “isok(俚俗)・chogeup(噍急)・yugoe(幽怪)・seomse(纖細), dainsa(多引事), and huiyeongmul(喜咏物)”as the six items to be cautious of. Yaksan especially admonished against dainsa and huiyeongmul among these six items in that the content of dainsa not only aggravates chaos but also does not contain individuality which is the life of literature and huiyeongmul is divested of truth and loses vividness through the usage of orally transmitted expressions rather than discuss matters necessary to the times.
한국어
약산 오광운은 18세기 초반에 활동한 근기남인의 대표하는 문인으로, 위항시인(委巷詩人)의 시선집인 소대풍요(昭代風謠) 의 서문(序文)과 보발문(補跋文)을 통해서 위항문인에 대한 사대부의 인식을 보여주었고, <문지(文指)>・<시지(詩指)>・<부지(賦指)> 등에서는 중국 역대 문인에 대한 단편적인 평과 함께 자신의 문학론을 기술하였으며, 사회 문제와 역사 문제를 제재로 작품화한 특징이 있다.
그는 근기 남인의 영수격인 미수 허목의 사상적 전통을 이어서, 육경(六經)에 연원을 둔 문학론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실생활에서 도를 찾고, 이를 문학 활동을 통해 구현하려고 하는 재도론적 문학론을 피력하였다. 한편 약산은 문화적 주체 의식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시를 배우는데 있어서 개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그 중 약산의 시론에 대한 논의를 집성한 글이 <시지>이다. 그는 이 글에서 각 시체의 시 풍격과 전범이 되는 시인들 그리고 시에 반드시 있어야 하는 6가지 요건과 경계해야할 6가지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6가지 요건은 ‘격(格)・조(調)・정(情)・성(聲)・색(色)・취(趣)’인데 각각 시의 격식, 음률의 조화, 예술형상화의 내용, 음악적 여운, 심상, 심상적 여운 등으로 풀이 할 수 있다. 약산은 이중에서 ‘정’과 ‘취’를 특히 중요시 하였다.
한편 약산은 6가지 경계해야 할 사항으로는 “이속(俚俗)・초급(噍急)・유괴(幽怪)・섬세(纖細)・다인사(多引事)・희영물(喜咏物)” 등을 들고 있다. 이중에서 약산은 ‘다인사’와 ‘희영물’을 특히 경계할 대상으로 삼았다. 즉 ‘다인사’는 내용의 혼란을 가중함은 물론 작품의 생명력이라고 할 수 있는 개성이 없어지기 때문이고, ‘희영물’은 시대에 필요한 사안을 말하기 보다는 구전되어오는 화석화된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진실성이 상실되고 생동감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목차
1. 서론
2. 생애와 문학관
3. 시창작에 대한 논의
1) 學詩에서의 개성 중시
2) 창작에서의 6가지 요건
3) 6가지 경계 요건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