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Predicting Factor of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between Management and Employees
초록
영어
We examined the precedent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organization communication between management and employees in Changwon city. We classified the communication between management and employees into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between management and employees.
Results from 368 fulltime employee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system is related with the number of total employees, the degree of employee benefit, the policy of outsourcing, the employee union, and the suppressive organization culture. In the second place,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s a relationship with the company which sell the product in a market, the level of employee salary, the competition in business, the suppressive organization culture and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system.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is followed. Although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system is similar to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e former is different to the latter. The employee welfare, the employee union, and the suppressive organization culture is strongly related with the organization communication between management and employees. The limit and restriction of the study a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창원지역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노사 간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을 탐색적 연구 문제를 통해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노사간 의사소통을 소통제도에 대한 인식과 의사소통에 대한 만족도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노사간 소통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종업원 수, 노동자의 복지 수준과 기업 경쟁력, 외주화 기업 전략, 노동 조합의 유무, 그리고 억압적 기업 문화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는 다르게 의사소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제품의 시장 판매 기업과 노동자의 임금 수준, 기업 경쟁력, 억압적 기업 문화, 그리고 노사간 소통 제도인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가 가지는 이론적 의의로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에서 보면 의사소통 제도와 그 운영의 결과로서 소통 만족도는 국그릇과 국의 관계 처럼 유사하지만 전혀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노사간 의사소통에 일관되게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노동자 처우, 노동조합의 유무, 그리고 억압적 조직 문화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에는 본 연구의 한계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커뮤니케이션과 조직을 바라보는 세 가지 관점
1. 세 가지 조직 이론
2. 커뮤니케이션 리더십: 조직과 커뮤니케이션
Ⅲ. 노사 간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
1. 근로자에 대한 처우
2. 기업 성과와 자원
3. 노동조합의 유무
4. 기업 전략
Ⅳ. 연구 조사 방법 및 척도
1. 예측 변인의 척도 구성
2. 설명 변인의 척도 구성
Ⅴ. 연구 결과
1. 측정 자료의 검토
2. 연구 문제의 분석 결과 및 그에 대한 논의
3. 추가 분석
Ⅵ.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