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김치 유래 유산균을 이용한 단호박 발효음료 제조 기술 개발

원문정보

Fermentation of Cucurbita maxima Extracts with Microganisms from Kimchi

노현지, 김기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19 strains, which could b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p. were isolated. The Cucurbita maxima has been known as a traditional healthy food and variable positive effects on the human body were already reported.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production process for a healthy fermented drink with Cucurbita maxima and strains originated from Kimchi. Many kinds of lacctobacci species existed in the fermented food cannot survive in the acidic conditions in the stomach. So we tried to search and select a strain, which can arrive to the small intestine. A species of a Lactobacillus named as C332 was identif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elected for the fermentation process. With the treatment with artificial gastric juice and artificial bile the survival rate of the cells could be calculated.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t the variable conditions have been tested. After fermentation process the sensoric tests on the product with panels were tried. The most of the cells could survive in the acidic conditions and falcultive anaerobe. Especially some antibacterial effects aganinst E.coli were also found. With all kinds of the results from our research the fermented Cucurbita maxima drink can be a successful item in the market.

한국어

김치유래 유산균 단호박 발효음료의 개발을 위해 김치에서 유산균 19종을 분리하였다. 이후 진행된 인공 위액 및 인공 담즙산 실험에서 살아남은 유산균 1종을 선별하였고 이를 C332라 명명하였다. 이 C332는 앞으로 진행되는 모든 실험에서 종균으로 사용하였다. C332는 인공 위액에서 1.66 × 105 CFU/㎖, 담즙산에서 1.49 × 106 CFU/㎖만큼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C332를 단호박 배지에서 호기적과 혐기적으로 배양한 결과 광밀도, pH에서 큰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여 통성혐기성 미생물임을 확인하였고, E.coli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결과 14 mm의 클리어존이 생겨나 E.coli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발효가 끝난 단호박 배지는 pH가 3.8까지 떨어졌으며, 산도는 1.41%이다. 16s rRNA full sequencing을 통해 C332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이후 관능검사를 통해 발효 시간별, 농도별로 발효음료가 유의수준 5%로 유의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저장성평가를 통해 12일간의 저장기간 중 약간의 산도증가 경향과, 약간의 pH 저하경향을 확인하였고, 우리나라 호상요구르트의 유산균 기준치 (1.0 × 108 CFU/㎖)를 상회하는 생균수 (발효 후 경과 12일 1.15 × 108 CFU/㎖)를 확인하여 저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김치에서 유산균 분리
  인공위액에 대한 내산성균주 분리
  인공담즙산에 대한 내성균주 분리
  단호박 배지 제조
  분리된 유산균의 호기적 및 혐기적 배양 비교
  유산균 단호박 배지 발효물의 항균활성 측정
  pH, 적정산도 및 생균수의 측정
  16s rRNA Full Sequencing
  농도별, 발효시간별 단호박 발효음료의 관능검사
  저장성 평가
 결과 및 고찰
  김치에서 유산균 분리
  인공위액에 대한 내산성균주 분리
  인공담즙산에 대한 내성균주 분리
  분리된 유산균의 호기적 및 혐기적 배양 비교
  유산균 단호박배지 발효물의 항균활성 측정
  pH, 적정산도 및 생균수의 측정
  16rs RNA Full Sequencing
  농도별, 발효시간별 단호박 발효음료의 관능검사
  저장성 평가
 고찰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노현지 Hyun-Ji Roh. 서경대학교 생물공학과
  • 김기은 Gi-Eun Kim. 서경대학교 생물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