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사체학의 연구 동향, 응용 및 국내 연구 활성화 방안

원문정보

Research trends, applications, and domestic research promotion stratigies of metabolomics

김소현, 양승옥, 김경헌, 김영석, 유광현, 윤영란, 이동호, 이충환, 황금숙, 정면우, 최기환, 최형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one of the new areas of ‘omics’ technology,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metabolomics, which involves the analysis of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in cells, tissues, and biofluids, and considers interactions within various organisms and reactions of external chemicals with those organisms. However, metabolomics research is still at a fundamental stage in Kor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trategic long-term plan to revitalize the national metabolomics approach and obtain the elementary data necessary to determine a policy for effectively supporting metabolomics research. These investigations clarified the state of metabolomics study both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from which we attempted to find the potentiality and fields where a metabolomics approach would be applicable, such as in medical science. We also discuss strategies for developing metabolomics research. This study revealed that promoting metabolomics in Korea requires cooperation with metabolomics researchers, acquisition of advanced technology, capital investment in metabolomics approach, establishment of metabolome database, and education of metabolome analysis experts. This would reduce the gap betwee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of metabolomics research, with the resulting developments in metabolomics having the potential to greatly contribute to promoting biotechnology in Korea.

한국어

대사체학은 동ㆍ식물, 미생물뿐만 아니라 식품, 농업, 의약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최근 미래를 선도할 학문으로서 주목 받고 있는 분야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대사체학 연구는 아직 기초적 단계이며, 대사체학에 대한 인식도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사체 연구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소개하였고, 국내ㆍ외 대사체학 연구현황, 대사체 연구의 필요성과 활용방안, 대사체 연구 수행 활성화를 위한 전략들을 소개하였다. 대사체학은 활용 범위가 매우 넓은 것이 특징인데, 예를 들어 functional genomics, 생물의 계통 분류, 생물의 대사경로 규명, 생물을 이용한 유용물질 생산, 신약 및 신소재 개발, biomarker의 개발, 식품 및 천연물 제제의 품질관리, 그리고 환경 및 독성 모니터링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대사체학 연구는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므로 국내 대사체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 주체간의 협력, 해외 선진 기술 습득, 연구 개발투자, 대사체 분석 전문가 육성, metabolome database 구축 등이 필요하다. 대사체학 연구에 대한 이러한 지원이 이뤄진다면, 대사체학 분야에 있어서 국내수준과 세계수준의 격차는 줄어들 것이다. 또한 결과적으로 대사체학 연구의 발전은 한국 생명공학 분야 (BT)의 발전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대사체 추출, 기기분석 및 다변량 통계분석
  국내, 외 대사체 연구 현황
   Max Planck Institute of Molecular PlantPhysiology (독일)
   The Institute of Biology Leiden (IBL), LeidenUniversity (네덜란드)
   The National Centre for Plant and MicrobialMetabolomics (영국)
   Department of Biomolecular Medicine,Imperial College London (영국)
   School of Biochemistry, University of Manchester(영국)
   Plant biology division, The Noble Foundation(미국)
   The Fiehn Lab, UCDavis Genome Center (미국)
   The Institute for Advanced Biosciences, KeioUniversity (일본)
  대표적인 국내 연구 그룹들
  대사체 관련 국제 학회
 대사체 연구의 활용방안
  Functional Genomics
  미생물 및 식물의 계통 분류
  미생물 및 식물의 대사경로 규명과 유용물질 생산성의증대
  신약 및 신소재 개발
  Biomarker의 개발
  식품 및 천연물 제제의 품질관리
  환경 및 독성 모니터링
 대사체 연구 중장기 발전 방안
  국내 연구 주체간 협력
  국제 연구 주체간 협력
  산학연관 협력
  연구 개발 투자
  대사체 분석 전문가 육성
  Metabolome database 구축
  국내 대사체 연구 SWOT분석 및 전망
 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소현 Kim, So-Hyun.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양승옥 Seung-Ok Yang.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김경헌 Kyoung Heon Kim.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영석 Young-Suk Kim.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유광현 Kwang-Hyeon Liu.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윤영란 Young-Ran Yoon.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분자의학교실
  • 이동호 Dongho Lee.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이충환 Choong Hwan Lee. 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 황금숙 Geum-Sook Hwang.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정면우 Myeon Woo Chung. 국립독성과학원 대사약리팀
  • 최기환 Ki Hwan Choi. 국립독성과학원 대사약리팀
  • 최형균 Hyung-Kyoon Choi.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