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Modern Korean Style Tableware for One Person - Constitution of 3. 5. 7Chup-Bansang Tableware -
초록
영어
The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the modern Korean style tableware is started from the problem of Korean tableware identity. This study has been a personal subject for a long time since master´s thesis and embodied through survey and test of tableware. This study is a small part of the standardization of the modern Korean style tableware and suggests three types of Korean tableware modules which are fit for a mat size for one person(25*37, 28*40cm) based on the traditional standardization of 3.5.7Chup-Bansang(table for 3.5.7 side dishes served with rice) as the "modern Korean style tableware in Bansang set for one person"
The suggested standard as the Korean tableware modules is the standard of the Japanese tableware having the same rice diet culture as the Korean's, but suggests a new concept of the Korean Bansang set concerning contents and quantity of the Korean food which is different from Japanese's.
The Korean tableware setting is plane spatial structure type, which means all dishes are placed on the one table. Therefore, rice dish and Guk(Korean soup) dish are displayed according to the dish size of 11cm, 14cm in diameter, respectively, as plane size of main dish on the table for four or the mat for one. The four types modules [small side dish(11cm in diameter), middle side dish(14cm in diameter), large side dish(17cm in diameter), extra-large side dish(22cm in diameter)] are displayed as the plane display constitution. As the result, 3,5,7-Chup constitution can have a sense of beauty as the common side dishes.
This modules are only the personal research, but I expect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standardization of the modern Korean style tableware through constant feedback.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적 반상규범인 3, 5, 7첩을 기반으로 “현대 한식기의 일인 반상(一人 飯床) 식기구성 ”을 제안하였다. 4, 6인 식탁의 일인 매트크기 25*37센티와 28*40센티에 적합한 3종의 한식기 모듈로써 제안된 기준은 2009년 설문조사 통계결과와 한식의 내용과 양을 고려하여 새로운 개념의 우리나라 반상기세트를 제안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와 같은 미식(米食)문화권인 일본 화식기(和食器) 표준규격(寸)을 참고하였다. 그러나 일본과 다른 우리나라 식기세팅은 한상에 모든 그릇을 올리는 평면공간형이기 때문에 식기배치방법은 4인식탁 평면, 또는 일인매트에 주식기 평면크기인 밥, 국그릇의 지름 11센티와 지름 14센티를 기준으로 배치하여 찬기 11센치 개인접시, 14센티 소접시, 17센치 중 접시, 그리고 22센티 대접시로 모듈을 정하고 4종의 모듈로 평면적 배치구성 조합을 실험해 본 결과 3, 5, 7첩의 미감있는 공동용 부식기의 구성이 이루어졌다. 물론 이 모듈은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실험에 불과하고 앞으로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하여 부족한 점은 계속 보충하여 현대한식기 규범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서론
1. 식문화의 변화와 도자식기
1-1. 한국 전통 반상기(飯床器)
1-2. 21세기 생활문화와 도자식기
1-3. 일본의 상차림 사례와 화식기(和食器)의 규격
1-4. 외식문화와 도자식기
2. 도자 한식기의 구성품과 크기
2-1. 2009년도 우리나라 도자 식기 사용에 관한 설문조사 분석
2-2. 현대 도자 한식기의 첩수별 구성과 규격
3. 도자 한식기 구성의 조합 실험 예
3-1. 기본 도자 한식기 구성품의 종류 및 크기(센치)
3-2. 일인용 식탁의 도자 식기구성 조합 예
결론
참고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