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동양화론에서 의상론(意象論)의 수용과 전개

원문정보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Eui-Sang Theory in the Theory of Oriental Painting

김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목차

I. 서론
 II. 중국 육조시대 의상(意象) 개념의 발생과 문예 배경
 III. 의상론의 회화적 수용
  1. 고개지의 천상묘득(遷想妙得)과 전신사조(傳神寫照)
  2. 종병과 왕미의 산수화론(山水畵論)
 IV. 의상론의 회화적 전개
  1. 장조의 외사조화(外師造化) 중득심원(中得心源0
  2. 장언원의 의재필선(意在筆先)과 정섭의 흉유성죽(胸有成竹)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희 Kim, Jung-Hee. 전북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