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n audit committee and internal control system have been introduced to enhance management transparency and reliable financial reporting. The prior studies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udit committee and internal control system have reported contraditory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into whether the audit committee and internal control system recently introduced to Korean firms effectively carries out its monitoring role in the financial reporting. Multi-variate logit model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is study. whether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s introduced or not and the characteristics of audit committee, independence, proficiency, and activities level are included in the model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finds that there has been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enal control system material weakness and financial reporting restatement, but independence of audit committee not tend to contribute to deter occurrence of accounting errors.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asonable implementation of an audit committee, not simply an introduction of it, is more important for reliable financial reporting.
한국어
감사위원회 및 내부회계관리제도는 기업의 경영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도입되었다. 특히 회계투명성 제고를 위해 도입된 장치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이 두 제도가 회계투명성 제고에 긍정적 역할을 한 다는 결과 및 형식적 운영이라는 부정적 결과로 나뉘어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부통제가 재무제표 작성에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분석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재무보고에 기여하는 가를 조사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을 대상으로 기업의 내부통제에 대해 의견교환을 할 수 있는 감사위원회의 특성과 이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검토의견이 과거의 회계오류를 발견하고 보고할 재무제표 재작성에 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도입 이후 3년간(2005년 ~ 2007년)의 자료를 활용하여 변인 교차분석과 다변량 로짓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부회계관리제도와 감사위원회 특성(독립성, 전문성, 활동성) 중에서는 전문성, 활동성, 그리고 중요한 취약점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외 선행연구들과 비교해 볼 때 감사위원회와 내부회계관리제도의 도입으로는 신뢰성 있는 회계정보의 제공이라는 소기의 성과를 달성 할 수 없고 제도의 효과적인 운영과 실질적인 역할 부여가 더욱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의 특성과 중요한 취약점 변수와 재무적인 변수만이 포함되어 있고, 비재무적 변수들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변수 생략의 문제와 변수들의 조작적 정의에 의한 측정오차의 문제등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내부통제기구 특성이나 의견에 대한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점은 제도 개선이나 관련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와 가설설정
1. 선행연구 검토
2.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 결과
1. 기술통계량 분석
2. 상관관계 분석
3. 재무제표 재작성 차이에 대한 분석
4. 다변량 로짓분석
Ⅴ.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