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f the Expatriate' Adaptatio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rying to examine how adaptation factors of expatriate in the local environment affect their commitment using samples of South Korea's expatriate managers in China. Especially, this research was reliable in that it actually surveyed 201 South Korean expatriates in China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adap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work stability and satisfaction, the better the degrees of expatriates' adaptation, and furthermore, their commitment towards their companies increases. Seco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regarding fairness of human resources administration's process and distribution and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in locals, the higher the commitments they have in their companies. Third, the expatriates might have already adapted well to the culture at the point of survey, or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s narrow, or the expatriates might have acknowledged. As this research investigated, in order for expatriates to have successful achievement in overseas, the three factors regarding duties, organization, and culture, are all significant.
한국어
해외직접투자의 증가와 그에 따른 해외 주재원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주재원의 현지적응은 성공적인 해외사업이 달성되고 조직몰입의 근간이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의 주재원을 대상으로 해외주재원의 현지적응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중국에서 한국인주재원2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직무, 조직, 문화요인에 대해 가설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지에서 해외주재원에게 할당된 직무로부터 느끼는 안정성과 만족도가 높을수록 현지직무적응이 잘 이루어졌으며, 본사에 대한 조직몰입도가 증가하였다. 둘째, 본사에서 시행되는 인사정책의 절차적, 분배적 공정성에 대한 만족감이 높을수록, 현지에서 동료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조직몰입도가 증가하였다. 셋째, 해외주재원이 파견지의 새로운 문화를 수용하는 과정은 조직몰입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은 조직몰입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및 기존문헌의 검토
1. 해외주재원에 관한 이론적 검토
2. 조직몰입
3. 해외주재원 몰입의 결정요인
Ⅲ. 연구가설 및 조사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조사방법
Ⅳ. 실증결과
1. 실증분석
2. 가설검증
Ⅴ. 맺음말
참 고 문 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