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an ethical issue in Image-Making as a background research. Because of the study is to approach the nature of image-making seizing the practice of it. To find an academic identity, an academic background and a desirable instructive method is investigated status of Image-Making which has been a course among college students in recent 10 years. The method of investigation is largely focused on analyzing 14 syllabuses and the goal of the courses. As a result, the study was categorized into three high ranges in other words; individual, interpersonal and practical aspects such as for employment or interview and four low ranges in other words; realization, elevation, improvement(change), development. As for weekly syllabuses, it was divided into three characteristics; manner, program and fashion or color. The result is surely relevant to experiences, academic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course of 14 professors, who wrote the syllabuses, moreover influencing other professional’s recognition and the rest in understanding Image-Making. From the result by investigating the syllabuses, it was possible to derive multi-goal of the study and classified teaching content, in addition understood the recognition degree of Image-Making among professors and other professionals and realized some problems. This will generally lead to finding an answer to formation of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not only prevailing in universities but also in our society. After all Image-making is not just a study of outer beauty but about a process, of harmony between true inner enlightenment and an effort to gain outer beauty. In conclusion, a researcher strongly insists that Image-Making should be studied and valued for academic, philosophical, aesthetical and propriety reasons. Especially it can find out an method of moral education in Image-making.
한국어
본 연구는 이미지메이킹에서 윤리성 문제를 연구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 계획되었다. 논자는 이미지메이킹의 실제를 파악하여 본질에 접근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최근 10여년 사이에 대학교과목으로서 개설되어온 이미지메이킹의 현황을 살펴 학문적 정체성과 배경을 파악하고 향후 바람직한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14개 강의계획서의 학습목표(목적)과 주별 강의(교수)계획서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결과의 전자에서는 세 가지 상위범주를 즉, 개인적, 대인(사회)관계적, 취업 및 면접의 실용적 측면으로, 네 가지 하위범주를 실현, 향성, 개선 및 변화, 개발로 분류하였다. 후자에서는 세 가지 유형 즉, 매너중심 형, 프로그램 형, 패션(코디) 및 칼라 형으로 나누었다. 이는 담당교수의 경험과 학문적 배경, 개설학과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이미지메이킹을 교수하는 관련전문가들과 학습자를 포함한 일반인의 인식에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따라서 학습목표(목적)과 주별 강의계획내용의 분석결과에서는 다중적 학습목표와 유형별 학습내용을 도출해낼 수 있었고 이미지메이킹에 대한 담당교수들의 인식정도와 문제점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미지메이킹에는 분명 외피의 꾸밈으로서만이 아닌 진정 내면의 울림과 외면의 노력이 조화되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교육학, 철학, 미학, 윤리학, 예절학 분야에서도 연구되어야할 가치와 필요가 있다. 특히 이미지메이킹에서 윤리교육의 방법적 모색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고찰
1. 이미지메이킹 관련 이론적 배경
2. 이미지메이킹 교육에 관한 연구
Ⅲ. 대학교과과정에서 이미지메이킹의 현황
1. 다중적 학습목표(목적) 분석
2. 주별 학습내용 분석
3. 이미지메이킹 교육의 학문적 정체성
Ⅳ. 결론: 이미지메이킹 교육의 과제와 대안 및 연구의 한계점
참 고 문 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