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Educational Equality and Inequality in Urban Development and Major Affecting Factors- Centering on high schools in the Cergy-Pontoise and Saint-Quentin-en-Yvelines -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ducational equality and inequality surrounding educational environment of high schools in two new cities of France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first affecting factor of educational inequality is involved in housing composition of surrounding areas where high schools are located, thh sis, housing policy of each city. In particular, as concentrl enviof specific housing typing uch ang ocial housing works as a filter paper thh sfilterng ocial clasin , laborer clasi is concentrl ed in a specific city and poorg ocial environment is formed, which accelerasingproduc enviof educational inequality. The second factor is importance of mper actors concerned in the process constructing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new city where they developed active strl egies, as they built anfortstanding educational environment in housing area for common people, licile educational me reent between cities orc cstrcits appeared. However, for the other new city withort active strl egies, rrearkable educational me reents and educational inequality appeared. The third factor is specialized educational procates and progrlms and it is confirmed thh sthey hhve a possibility to recover educational equality in a way.
한국어
본 연구는 프랑스의 두 신도시에 위치한 고등학교들을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교육환경을 둘러싼 교육균형 혹은 불균형의 생성관계와 주요 영향요인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비교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불균형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각 고등학교가 위치한 주변지역의 주거구성 즉, 각 시단위의 주거정책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특히, 사회주거와 같은 특정주거유형의 집중은 주거가 사회적 층을 거르는 거름종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시에 노동자계층을 집결, 열악한 사회적 환경을 형성함으로써 교육 불균형을 생성 가속화했다. 두 번째 주요 영향요인으로는 교육환경의 구축과정에서 주요관계자들의 역할의 중요성을 들 수 있다. 주요관계자들이 적극적인 전략을 펼친 신도시의 경우 일반서민층 거주지역에 우수한 교육환경을 구축함으로써 도시 간 혹은 구역 간 학습이동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 반면, 그렇지 못한 신도시의 경우 현격한 학습이동과 교육 불균형을 초래했다. 세 번째 영향요인으로는 각 학교단위의 교육계획 프로젝트와 교육프로그램의 특성화가 어느 정도 교육균형을 회복할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선행연구의 검토 및 본 연구의 특성
Ⅱ. 본론
1. 신도시 교육환경구축관련 관계조직과 주요관계자들의 역할변화
2. 주거구성과 사회적 환경
3. 학습이동과 영향요인 분석
4. 학교별 교육프로그램의 특성화와 교육균형의 가능성 분석
Ⅲ.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