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Journal of Music Therapy(1999-2008) 논문의 내용 분석

원문정보

A Content Analysis of Journal of Music Therapy from 1999 to 2008

이영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published from 1999 to 2008 in the Journal of Music Therapy for examining the trends of music therapy research and the study objects in detail. Researchers classified the research documents into modes of inquiry, research themes, study subjects, and clinical purpose areas. In their study subjects, researchers classified subgroups that considered that frequency.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frequent modes of inquiry were experimental study (50.55%) while the least frequent mode was philosophical study (3.8%). Considering research areas, 61.66% were on the discipline research, 28.88% were on the professional research, and 8.88% were on the foundational research. In the subjects of study, there was a general adult population (26.21%), a general medical service population
(17.96%), a general music therapist population (12.62%), a disability children population (10.19%), a general children population (9.7%), a disability adult population, and others (5.82%).

한국어

이 연구는 1999년부터 2008년까지 Journal of Music Therapy에 수록된 논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의 경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특별히 대상층을 세분화하여 대상층 선정의 경향과 분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자는 연구의 유형, 연구의 주제, 연구의 대상, 목적영역으로 연구논문을 분류하였고 연구의 대상에 있어서는 빈도를 고려하여 하위 범주를 분류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난 10년간 연구의 유형에 있어서는 실험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기술연구, 역사연구, 철학연구 순으로 그 빈도를 나타내었다. 연구의 주제에서는 분야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직업연구와 기초연구 순으로 빈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대상층의 경향에 대
해서는, 일반 성인이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으며 일반 의료가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다. 그 뒤로는 각각 음악치료사, 노인, 장애 아동, 일반 아동, 기타, 정신과, 장애성인 순으로 그 비중을 나타내었다. 일반 성인 대상층에는 대학 학부생이 그 주류를 이루었으며 그에 따른 전공분야는 비(非)음악전공분야, 음악치료전공분야, 음악교육전공분야, 전공 미분류, 음악전공분야로 분류되었다. 일반 의료의 경우 신생아를 그 대상층으로 선정한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암, 종말기, 다발성 경화증, 만성통증, 뇌 손상, 종양, 에이즈, 심장질환, 폐기종, 화상, 폐렴과 같은 다양한 대상층이 등장하였다. 음악치료사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위치나 만족도, 임상현장에 대한 묘사, 임상현장에
서 사용하는 기술이나 대상자와 함께 작업하는 즐거움에 대한 묘사와 더불어 과거 영향력을 미친 음악치료사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과 같은 주제가 등장하고 있다. 노인 영역에서는 일반 노인, 노인의 우울 및 신체적 장애, 일반 아동에서는 사별경험 아동, 장애 아동의 분야에서는 장애 아동의 정신질환 관련, 사회적 장애나 중복 장애, 정신과 분야에서는 학대나 불면증 등의 대상층이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방법
  대상
  분석 유목의 정의
  코딩 단위
  코딩 작업
 결과
  연구의 유형별
  연구의 주제별
  연구의 대상별
 결론 및 논의
 후주
 참고문헌
 영문초록
 부록

저자정보

  • 이영화 Lee, Young Hwa.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