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 조선족 문학

“디아스포라 작가” 김학철의 문화신분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Cultural Standing of “Diaspora Writer”, Hakcheol Kim

김관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akcheol Kim was a diaspora writer with very strong disposition of a political refugee whose social and cultural standing were in multitud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upheaval period after the Liberation, he lived in countries including Chosun→China→Japan and places including Wonsan→Seoul→Pyeongyang→Shanghai→Namgyeong→Muhan→Taehang mountain→Nagasaki, Japan then Seoul→Pyeongyang→Beijing→Yánbiān and returned to Chinese Communist Party after having joined Chosun National Revolution Party→Chinese Communist Party→South Korean Democratic Labor Party→Chosun Labor Party. During the process, he dismissed national identity as “people of the Emperor” forced by Japan and took a political refuge to China; after the Liberation, he chose nationality of Chosun, only to change it to of China later. He explored Korean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s including Chinese, Japanese and English and was familiar with cultures and people of the three countries, which formed a base of his cultural standing. Even later in his life, he frequently traveled to many countries and places including Shanghai and Xian, China, Seoul, Korea and Tokyo, Japan. Such aspect of him inevitably results in forced harmony in contradiction of his multiple standings. However it is clear in the process of having built multi-cultural standing and its change throughout his life that his national standing was relatively invariable. For this reason, Kim’s work is associated with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Korean Chinese and Chinese literature of his time, which reflects dual nature of his work.

한국어

김학철은 정치망명자의 속성이 아주 강한 디아스포라 작가로서 그의 사회신분과 문화신분은 다중적이었다. 그는 식민지시대와 광복 후의 격동기 조선→중국→일본 등 부동한 나라와 원산→서울→평양→상해→남경→무한→태항산→일본 나가사키 다시 서울→평양→북경→연변 등 부동한 지방에 살아오고 조선민족혁명당→중국공산당→남노당→조선노동당을 거쳐 다시 중국공산당에로 복귀하였다. 이러는 과정에서 그는 “황국신민”이라는 일제가 강요한 국가신분을 버리고 중국으로 정치망명을 하며 해방 후에는 조선국적을 선택했으나 나중에는 중국국적으로 바꾸었다. 그는 또 조선어․중국어․일본어․영어 등 여러 가지 언어를 장악했고 이 3국의 문화와 민족에 대해 익숙히 알고 있게 되었는데 이러한 것들은 모두 김학철의 문화신분의 조성부분으로 되였다. 만년에도 그는 중국의 상해와 서안 그리고 한국의 서울과 일본의 도쿄 등 여러 나라와 고장을 자주 내왕하였다. 이러한 모든 것은 부득이 그로 하여금 다중 신분 사이의 모순을 애써 조화하지 않으면 안 되게 하였다. 다만 문화신분 중의 여러 가지 요소 중에서 민족신분만은 상대적으로 가변성이 가장 적은 존재임을 우리는 김학철의 일생의 문화신분의 변화와 다중적 문화신분의 형성과정을 통해 명확히 볼 수 있었다. 바로 이런 까닭에 김학철의 문학은 중국조선족 당대문학과 중국 당대문학에 속할 뿐만 아니라 전반 조선민족의 당대문학에 속하게 되는 이중성격을 갖게 되는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1. 들어가는 말
 2. 디아스포라, 문화신분의 개념 및 디아스포라로서의 중국조선족
  1) “디아스포라”, 아이덴티티, 문화신분의 개념
  2) 디아스포라로서의 중국조선족
 3. “디이스포라 작가”로서의 김학철의 삶의 궤적
  1) 김학철과 “토지신분”과의 분리
  2) 김학철과 “국가신분”의 분리(分離)와 재생산
 4. “디아스포라 작가(diaspora writer)” 김학철의 다중적 문화신분과 그 내면적 갈등
  1) 김학철 문학의 언어적 측면에서의 다중적 문화신분
  2) 김학철 문학의 비판적성향에서 나타난 다중적 문화신분
  3) 디아스포라 작가인 김학철 문학에서 보이는 내면적 갈등
  4) “강요된 신분”,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신분”에 의한 김학철의 “복수신분”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관웅 Kim, Gwan-Woong. 연변대 조문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