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dissertation illustrates from a perspective that San Kim’s interpretation of the Far East corresponds to Nym Wales’ song “Arirang”. “Arirang” is a song moderately showing the consciousness of San Kim, a Korean-Chinese revolutionist, who fought for Korea’s liberation in China while taking part in the Chinese Revolutio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mong the Far East countries, Kim assumed the success of the Chinese Revolution will lead to Korea’s Independence. However, ironically, he is executed by the Communist Party, despite the fact he was once their leader and a faithful comrade. Because of his unique lifetime background and his confidential death at Yan An, China in 1938 held by Chinese Communist Party, most of Kim’s research was focused on details of his life or the reasons for his death. Therefore, this thesis spotlights another viewpoint about Kim’s ideology and revolutionary theories and concludes that Kim’s life had to come to a tragedy according to his interpretation of the Far East. Though Kim sacrificed himself in the Chinese Revolution, his goal from beginning to the end was Korea’s liberation. Kim joined the Communist Party merely to liberate Korea rather than because he had the same doctrine. Kim participated in revolutions and battles, but his goal of Korea’s independence was always the priority. His passion towards success of the independence brought him over confidence regarding to a possibility of a Korean Revolution. Furthermore, Kim’s desperation of the Communist Party’s collapse resulted in criticism and skepticism. Not only he pursued the three Far East countries’ collaboration, but also maintained the subjectivity and the uniqueness of the minority. Kim was afraid that all the other Korean-Chinese revolutionists’ effort would become useless. Scrutinizing Kim’s interpretation of various opinions of the Far East countries regarding a Korean Independence and his reflection upon China and Chinese Revolution conveys his eagerness towards Korea’s Independence. Kim did not consider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s a political matter, but viewed as a helper to liberate Korea.
한국어
본고에서는 조선해방사업을 위해 중국에서 중국혁명에 투신하여 싸웠던 조선인 혁명가 김산의 생애를 다룬 님 웨일즈의 아리랑에 나타난 김산의 내면의식을 그의 동아시아 인식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김산은 동아시아 연대론의 입장에서 중국혁명의 승리가 곧 조선의 독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 하에, 중국혁명에 투신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한때는 지도자적 위치에도 있었고 또한 국제적 연대의 동지로 믿어왔던 중국 공산당에 의해 처형당한다. 그의 삶이 띠고 있는 전기적 색채 때문에, 또한 그가 1938년 연안에서 중국 공산당에 의해 비밀리에 처형당한 것 때문에 이제껏 그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의 생애에 대한 복원과 의문의 죽음에 대한 조명에 집중되어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의 생애와 죽음에서 한걸음 물러나 그의 사상과 혁명이론, 나아가 실천적 투쟁과 그의 삶 전체를 관통하고 있던 그의 동아시아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삶이 결국 비극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김산은 비록 중국혁명에 투신했으나 그의 목표는 시종 조선해방 즉 민족해방이었으며 국제적 연대로서 중국혁명이나 공산주의는 그에게 있어서 이념이나 목표라기보다는 민족해방에 이르기 위한 하나의 길 내지 방법적 차원에 불과했다. 그러므로 그는 광동대혁명, 북경시절의 지하당 투쟁, 중국 공산당의 수뇌부인 연안에 이르기까지 혼신의 힘과 정열을 다 바쳐 중국혁명에 투신하지만, 조선의 해방을 잊지 않고 있었으며 조선 문제를 중심에 놓고 있었다. 이러한 민족해방에의 열정은 그로 하여금 조선 혁명의 가능성에 대해 지나치게 자신감을 갖게 하였으며, 또한 중국 혁명이나 중국 공산당의 투쟁노선이나 방침, 그들의 실착이나 좌절에 대해 지나친 조급정서를 드러내게 했으며, 비판과 함께 강한 회의를 갖게 하였다. 그는 동아시아 3국의 연대론을 주장하면서도 소수의 주체성과 독자성을 견지했으며 중국혁명에 투신한 조선인 혁명가들이 물속의 소금이 되는 것을 두려워했다. 조선혁명과 그것을 둘러싼 동아시아 제반 환경에 대한 김산의 인식과 일본에 대한 이원적 인식, 중국과 중국혁명에 대한 날카로운 성찰 등을 통해 우리는 김산이 얼마나 조선해방을 갈구했는지 알 수 있었고, 그에게 있어서 공산주의는 이념적 차원이 아니라 단지 민족해방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적 차원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목차
1. 의문의 죽음, 엇갈린 평가
2. 조선혁명과 동아시아 제반 환경에 대한 인식
3. 일본 제국주의와 일본인에 대한 이원 인식
4. 중국과 중국혁명에 대한 성찰, 조선인의 비애
5. 동아시아 3국 연대론, 소수의 주체성과 독자성
6. 민족해방의 목표와 방법으로서의 공산주의
7.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