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인문학

자기 발견과 치유의 여정 -이문구의 장편 장한몽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Journey to Self-discovery and Healing -Focused on Lee Mun-gu’s Long Novel Janghanmong-

곽영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characteristic of Lee Mun-gu’s novels is that the narrators’ age grows old together with the writer’s career. As the narrator changes, the horizon of cognition covered by the novel also changes, and this tendency shows a kind of growth structure. Accordingly, regardless of their level, Lee Mun-gu’s early novels need to be spotlighted because they are products during the period when his identity as a writer and literary consciousness were established.
Among his early writings, long novel Janghanmong is important in that it deals with unique materials and characters and that an autobiographical character appears. Janghanmong is a story about people who gathered for removing a public cemetery to another place. The characters live at the outskirts of Seoul, suffering from family disorganization by the war and
structural poverty brought by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y lead an extremely desperate life like hell, and such a state stimulates the self-consciousness of Kim Sang-bae, the focalizer, and induces him to look back his own wound and to heal it in his own way.
Kim Sang-bae is writer Lee Mun-gu’s autobiographical character who experiences the death of family and ideological conflicts in the war and then isolates himself from the society voluntarily. Then, while doing the work of removing a cemetery, he realizes that he lacks the will to lead his life on his own initiative, and finds that the cause is the trauma during his unconsciously
suppressed childhood. To heal the trauma, he adopts the method of ‘living as an ordinary person.’ However, his effort is not a solution for the problematic situation but a sympathetic agreement. This is so natural that it can be regarded as the writer’s will expressed as it is without filtration. Thus, the reason that the author has to end with an ethical statement of his problem through Sang-bae needs to be discussed further in connection to his later novels.

한국어

이문구 소설은 시기별로 볼 때 작가의 경력에 따라 화자의 연령이 높아진다는 점이 특기할만하다. 화자가 변하면서 소설에서 다룰 수 있는 인식의 지평도 달라지게 되는데, 이는 일종의 성장구도를 보여준다. 따라서 이문구의 초기 소설은 그 수준을 떠나 작가로서의 정체성과 문학의식 정립기의 산물이라 할 수 있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의 초기작 중 장편 장한몽은 독특한 소재와 인물군을 다루었다는 점 이외에도 자전적 인물을 등장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장한몽은 공동묘지 이장 작업 중 모인 사람들의 이야기로, 등장인물들은 전쟁으로 인한 가족의 해체와 도시화․산업화에 의한 구조적 빈곤을 겪으며 서울의 변두리에서 살아간다. 이들은 강인하다 못해 극악스러울 정도로 악착같이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데, 이러한 모습은 초점화자인 김상배의 자의식을 자극하여 그가 자신의 상처를 돌아보고 나름의 방식으로 치유하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만든다.
김상배는 작가이문구의 자전적 인물로, 전쟁으로인한가족의죽음과사상적문제를겪으며 사회로부터 자발적으로 자신을소외시킨다. 그러던 그가 이장작업을 맡으면서 자신에게는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가 결여되어 있음을 깨닫고, 그 원인이 무의식적으로 억압해왔던 유년시절의 트라우마임을 인정한다. 그리고 이를 치유하기 위해 ‘보통사람처럼 살아가기’를 방법으로 내세운다. 하지만 그의 노력은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이 아니라 심정적인 동의로, 이는 지나치게 당위적어서 작가의 의지가 걸러지지 않은 채 그대로 표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작가가 자신의 문제를 상배를 통해 윤리적 차원의 진술로 마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그의 이후 소설들과의 관련성 속에서 좀더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변두리 인물들의 주체적 생명력
 3. 자기 인식과 트라우마의 발견
 4. 억압된 것들의 회귀―자발적 구원과 타협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곽영희 Kwak, Young-Hee. 강릉원주대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