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2부 도시 문화의 상상력

The Phantasmagoria of Spectacle -A Critique of Media Culture-

원문정보

미디어 환경의 판타스마고리아(Phantasimagoria) : 미디어 문화 비판

Jae-Ho Kang

한국영상문화학회 영상문화 제14호 2009.07 pp.243-28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논문은 발터 벤야민의 두 가지 주요 개념인 ‘아우라’(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와 ‘판타스마고리아’(아케이드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현대성과 미디어 문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수행하고자 한다. ‘오늘날의 경험이 어떻게 역사적으로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구성되는지’에 대한 벤야민의 주요 관심과 관련하여, 본 논문은 아우라의 몰락과 ‘판타스마고리아’로서 현대성에 대한 연구가-벤야민은 현대성을 ‘판타스마고리아에 의해 지배되는 세계’로 특징짓는다-서로 유사한 성향이 있음을 언급한다. 그러나 아우라와 판타스마고리아 사이의 개념적 불연속성이 존재하고 있고, 벤야민이 아우라의 개념을 미학적 경험에 대해서만 사용하고 있었는지도 또한 의문이다. 더 나아가 경험의 소통가능성(die Mitteilbarkeit der Erfahrung)이 쇠락하고 있음을 지적한 벤야민의 분석이 미학적 수용에로의 변화와 관계하는지도 살펴볼 일이다. 뿐만 아니라 대중문화의 출현이 어느 방향으로 진행되었는지, 그리고 소위 환락산업이 아우라의 몰락과 관계하는지에 대한 것도 중요한 질문인데, 이러한 모든 질문과 관련하여 본 논문은 보다 광범위한 콘텍스트 속에서 미학적 경험의 변형을 읽기 위해 벤야민의 아우라적(auratic) 그리고 포스트-아우라적(post-auratic) 경험을 19세기 대중문화 연구와 연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논문은 또한 미디어 환경에 대한 벤야민의 분석이 미디어와 문화에 대한 비판적 이론을 전개하는데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인가 하는 점도 검증할 것이다.

목차

The Distracted Collective
 The Experience of Phantasmagoria
 Mechanical Reproduction of Aura
 Adorno’s Phantasmagoria
 Towards a Materialist Critique of Culture
 국문초록

저자정보

  • Jae-Ho Kang 강재호.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New York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