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 <갯마을>의 상징적 장소와 장소성

원문정보

The Symbolic Place and Placeness in the Movie <Gat-Maeul>

손은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ile the term “place” is interchangeably used to mean environment, space or position, the term is more than a position and embodies the culturaliz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Moreover, the term “placeness” refers to the comprehensive quality which makes a space into a place and distinguishes a given place from another place. This term coexists with the identity of a place as well as the related ideas such as a place attachment and a sense of place. A “place” and the “placeness” are ideas which cannot be formed without human beings serving as media, and they are based on the community theory or place which is built upon human ecology. The intertwined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text are portrayed based on the aforesaid theoretical concepts. These characters form a natural community through the ocean as the medium, which depicts their place attachment. For “Hae-Sun,” the protagonist, and “Hae-Sun’s Mother-in-law,” the ocean is the source of life, a place to which they are attached. For “Sun-Im,” on the other hand, the ocean is the “profound image,” a place of death. The shrine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is a mythological place in which people pay their respect with prayer and devotion. It is also used as a place of grudge as well as mourning. In conclusion, for human beings, a place and the placeness are multi-layered concepts which relate to certain elements such as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time, activities, community awareness, scenery and relative position. Finally, after investigating the Il-Gwang ocean, the actual background of Gat-Maeul, it has been proven that this text reflects the historical facts as well as the presence of that ocean.

한국어

'장소(place)'는 환경, 공간, 위치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하기도 하나 이것은 위치 이상의 것으로 통합되어있고 자연적 환경을 문화화한 개념이다. 또한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 특정 장소를 다른 장소와 구별되게끔 하는 총체적 특성을 ‘장소성(placeness)’이라고 하며 이는 장소의 정체성과 장소 애착(place attachment), 장소감(sense of place) 등의 파생된 개념과 공존한다. 이러한 장소와 장소성은 인간이 매개되지 않으면 형성되지 않는 개념이다. 그리고 인간 생태학을 토대로 하는 공동체 이론도 장소를 밑바탕으로 하여 생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개념들을 바탕으로 하여 <갯마을> 텍스트에 나오는 인물들을 접목시켜 보았다. 이들은 바다를 매개로 자연적 공동체를 이루어 나가는 모습들이 장소애착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 공동체의 상징적인 장소, 즉 바다에 대한 의미는 사람마다 차이를 보인다. 주인공 "해순"과 "해순의 시어머니"는 바다가 삶의 원천이며 자신의 몸과 뗄 수 없는 애착의 장소이나 "순임"에게 있어 바다는 죽음에 이르는 "깊은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을 어귀에 있는 성황당은 기도와 정성을 담아 예를 올리는 신화적 장소로 혹은 원망과 통곡의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인간에게 있어서 장소와 장소성은 인간과 환경, 시간, 활동, 공동체 의식, 경관, 상대적 위치 등에 의해서 매겨지는 중층적인 측면을 갖고 있다. 마지막으로 실제 <갯마을>의 공간적 배경이 되었던 일광바다의 답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 이 텍스트가 그 장소의 역사적 사실과 현장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목적과 연구내용
 2. 이론적인 개념
  2-1.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
  2-2. 공동체이론
 3. 영화 속 장소와 장소성
  3-1. <갯마을>의 상징적 장소와 상징적 의미
  3-2. 현재 갯마을의 모습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손은하 Sohn, Eunha.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