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광고반응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 for Advertising Response and Evaluation

남승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develop and validate Scale for Advertising Responses and Evaluations(ARES), five studies were performed. First, in conceptual study, antecedent studies related to advertising responses and evaluations were reviewed. In preliminary study, 127 undergraduates were asked to free response about 'what is good advertising?' and 'why do you think so?' Also, they answered reasons to 6 items that examine advertising evaluation by 'www.tvcf.co.kr': ad attention, product clarity, ad comprehension, ad uniqueness, product purchasing intention, and ad preference. In exploratory study, 237 undergraduates were rated preliminary scale for advertising responses and evaluations that include 22 items on Likert 7 points scale.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data were analyzed by internal consistency and factor analysis. Scale for advertising responses and evaluations consisted of 4 factors. In first confirmatory study, 241 undergraduates were rated modified scale that 23 items on Likert 7 points scale. Consistent to exploratory study, 4 factors were found and were labeled as "sympathy dimension", "information dimension", "persuasion dimension" and "creativity dimension" respectively. In second confirmatory stud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y LISREL8 with 351 undergraduates data that rated 12 items on Likert 7 points scale. Fitness of model was good. Findings show ARES is an acceptable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tool for measuring advertising responses and evaluations. Further research topic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한국어

소비자들의 광고에 대한 반응과 평가를 알아볼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하여, 다섯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개념연구로 문헌고찰을 통하여 광고반응평가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에 예비척도를 구성하기 위한 자유응답반응을 통한 자료수집과 현장에서 사용되는 광고반응평가방식에 응답하는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개념연구와 예비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광고반응평가를 위한 예비척도를 구성하여 탐색연구를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내적일관성과 요인분석으로 검토하였다. 탐색 연구결과, 광고반응평가를 위한 예비요인구조가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척도의 타당화를 위하여 탐색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보완하면서 연구대상을 달리하여 수정척도로 자료를 수집하여 제1차 확인연구를 실시하였다. 확인연구 결과도 네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요인들은 ‘공감차원’ ‘정보차원’ ‘설득차원’ 및 ‘창의차원’으로 명명하였다. 끝으로, 공분산구조모형(LISREL)을 사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제2차 확인연구를 실시하여 4개의 요인구조를 상정한 광고반응평가척도의 적합도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광고반응평가를 위한 최종 척도를 제안하였다.

목차

1. 서론
 2. 개념 연구
 3. 예비 연구
 3. 탐색 연구
 4. 확인 연구
  1) 요인분석을 이용한 확인연구
  2) 공분산구조모형을 이용한 확인연구
 5.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남승규 Nam, Seung-Kyu. 대전대 산업·광고심리학과 교수, 심리학박사(Professor, Dept. of Industrial and Advertising Psychology, Daejeo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