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정된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적용한 모바일광고 수용의도연구 : 성별요인(Gender)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on Intentions to Adopt Mobile Advertising: An Application of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안대천, 김상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pplying a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is stud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on intentions to adopt mobile advertising. Results from the survey with a sample of 330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how that regardless of gender, the most salient factor in predicting mobile advertising adoption is found to be subjective norm.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however, are observed in the effects of other factors. For the male respondents,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for mobile advertising are significant, while perceived enjoyment and personal innovativeness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mpacts among female respondents. Th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also show that the group difference is significant in the dimension of perceived ease of use, personal innovativeness, and subjective norm. Bo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한국어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과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 개인의 혁신성, 주관적 규범 등 5개 요인을 포함하는 모바일광고 수용의도 예측모델을 제시하고 성별요인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총 330명의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의하면 남녀 모두 주관적 규범이 모바일광고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지만 다른 요인의 경우 남녀 간의 의미 있는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남성의 경우 기술수용모델의 핵심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의 영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지각된 즐거움과 개인의 혁신성이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 분석을 이용하여 경로별 남녀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남성 집단에게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에게는 개인의 혁신성과 주관적 규범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갖는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1. 연구목적 및 의의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모델
  1)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
  2) 지각된 즐거움
  3) 개인의 혁신성
  4) 주관적 규범
  5) 연구모형과 가설
 3. 연구가설
 4.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및 표본
  2)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
 5. 연구결과
 6.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안대천 Daechun An. 홍익대 광고홍보학부 조교수, 광고학박사(Assistant Professor, Dept. of Advertising and PR, Hongik University)
  • 김상훈 Sanghoon Kim. 인하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광고학박사(Professor, Dept.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Inha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