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어우야담 소재 귀신담의 귀신욕망과 욕망의 실현방법

원문정보

Ghosts' Desires for Affection and Entering into the Symbolic in Ou Yadam (17 C.)

윤혜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u Yadam, written in the early 17 Century (1623), has the narratives dealing with the desire of gwishin, Korean ghosts, compared with the previous narratives in Yongje Chongwha (15 C.), and Yongcheon Damjeokgi (16 C.). The narratives are divided into two types based on the ghosts' desires: the ghost desires but does not know how to demand or accomplish its desire; the ghost desires and strongly demands another, a human being, to accomplish its desire. The ghost which doesn't know how to resolve its desire repeats a traumatic tendency and the ghost which intends to resolve itself shows its desire and finds a way to resolve it. The desire is expressed in the form of demand and the two main demands are the demand for sexual attention and demand for receiving a funeral. These demands indicate the desire, affection and entering into the symbolic. This research illuminated what the demands are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res in the narratives that the ghost intends to resolve. Under the mythical world view and Buddhistic world view, gwishin was a supernatural and external being. It was placed outside of human beings in the myths and early narratives. However, as gwishin came to be known as a spirit of the dead, it became close to having human mind and psyche. Human sentimentals substituted gwishin's transendentals: need, demand, desire, anxiety, and trauma. Compared to the previous narratives, the gwishin in Ou Yadam expresses their demand concretely: verbal announcement and behaviour toward another, a human being. According to the Lacanian Psychoanalysis Theory, there is always a gap between need and demand. Therefore the gap stimulates constant desire. The repeated demands indicate the unconscious desire, that is, the passion for the being. In the narratives, gwishin demand sexual attention and a funeral. These indicate unconscious desires, a desire to be an object that the other desires. In the narratives, the demand becomes a desire for affection and a desire for receiving a signifier in the symbolic. Getting a signifier means being a subject in the society. Therefore, gwishin comes back to the society and ceaselessly demands the missing signifier of a recognised death. The process and method to realise the desir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x. The female gwishin appears to a man and uses its sexual features: its beauty, gestures and lure. Meanwhile, the male gwishin appeares to a man and uses its power as supernatural being and suppresses the other and makes him act. In the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explain what is the background and main stimuli of the change in gwishin narratives of Ou Yadam. Furthermore, comparative study is needed in the diachronic sense from the 15 C. and to the 18 C.'s literary texts.

한국어

이 연구는 어우야담에서 귀신이 욕망의 실현을 직접 시도하는 「성적관심 요구」 귀신담과 「장례 요구」 귀신담을 대상으로 욕망의 내용, 성격, 욕망을 실현하는 과정과 방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여귀와 남귀의 성차(性差)에 따라 욕망의 실현과정과 방법이 다름을 밝혔다. 어우야담 귀신담에서 귀신은 성적 관심과 장례를 요구한다. 성적 관심 요구는 요구 자체보다는 그 너머의 것 즉, 무의식상의 욕망을 가리킨다. 성적 관심을 요구하는 것은 곧 애정을 욕망하는 것이며 장례를 요구하는 것은 상징계(the symbolic)에 편입하고자 하는 욕망을 뜻한다. 애정 욕망은 남녀 간 애정을 바라는 것이고 상징계 편입 욕망은 사회 속에서 기표(signifier)를 가짐으로써 자기 존재를 타자(the other)가 인정해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이같은 무의식상의 욕망은 결국 대상의 욕망이 되고 싶은 욕망이므로 귀신담에서 여귀는 ‘타자(the other)인 남성의, 욕망의 대상이 되고 싶은 욕망’을 반복한다. 또 생물학적으로는 죽었으나 장례를 치르지 못해 상징적으로 죽지 못한 귀신은 장례가 치러질 때까지 즉, 장례의 기표를 얻어 상징계에 편입할 때까지 인세에 귀환한다. 욕망을 실현하는 과정과 방법은 귀신의 성차(性差)에 따라 다르다. 여귀는 성적 자질을 이용하고, 남귀는 비일상적 존재로서의 힘을 권위화하여 상대를 압도한 후 자신의 욕망을 실현한다. 「성적관심 요구」 귀신담에서 여귀는 남성이 혼자 있을 때 출현하며 미모, 교태어린 말로 유혹한다. 여귀의 능력 중에서 가장 효용이 높은 능력은 바로 성적 자질에 바탕을 둔 능력이며 이 사실은 남성의 긍정적 반응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남성을 유혹할수록 여귀의 결핍이 강조되고 드러난다. 죽은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과 사랑을 나눌 자격이 안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결핍은 존재론적 결핍으로 노력해서 해소될 수 있는 결핍이 아닌, 애초에 해소될 수 없는 결핍이다. 남귀는 여성의 동의를 구하지 않는다. 강압적으로 여성을 죽여 자신의 존재 기반인 이계(異界)로 데려간다. 일방향의 힘(power)이 욕망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장례 요구」 귀신담에서도 여귀는 성적 자질을 이용하여 상대의 책무감을 유발하고 이로써 욕망을 실현한다. 남성의 책무는 ‘장례 치러주기’가 되며 피하지 않고 이를 수행한 남성에게는 보상, 복록이 따른다. 「장례 요구」 귀신담에서 남귀는 비일상적 존재의 힘을 이용하며 이 힘은 권위가 된다. 남귀는 비일상적 이기(異氣), 예를 들어 한기(寒氣), 이광(異光), 이음(異音) 등으로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 이에 남성은 비일상적 존재의 출현을 감지하며 점점 압도된다. 마침내 남귀는 남성 앞에 모습을 드러내고 이어 부탁의 말을 전하며 남성은 이를 들어준다. 여귀는 자신의 요구를 남성에게 전달할 언어가 없어서 우회적으로 실현했던 반면, 남귀는 직접적으로 자신의 요구를 언어로 전달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욕망의 내용과 성격
  2.1. 성적관심 요구와 애정 욕망
  2.2. 장례 요구와 상징계 편입의 욕망
 3. 욕망의 실현과정과 방법
  3.1. 성적 자질을 이용하는 여귀
  3.2. 힘과 권위를 이용하는 남귀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혜신 Yun, He-shin. 포항공과대(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