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2차 통신사 필담집의 특징-對禮餘藻의 주자학 담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12次 通信使 筆談集の 特徴-「對禮餘藻」の朱子學の談論を中心に-

12차 통신사 필담집의 특징-대례여조의 주자학 담론을 중심으로-

구영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1811년의 12차 통신사행은 조선시대 마지막 통신사로서 역지되고 축소된 와해와 변질의 통신사로, 혹은 믿음의 교류로, 반대로 비교린적 폐쇄적 교류로 다양하게 이해되었다. 필담집 「대례여조」는 사상적 변화 속에 새롭게 등장한 일본의 관정 주자학자들과 개국 이래 400년간 주자학의 적통임을 자부하던 조선의 사행원들 간의 필담 창화한 내용의 일본 측 기록이다. 「대례여조」에서 이들 간의 주자학 담론을 살핌으로 조일의 다른 함의의 주자학의 실상과 양국이 얻고자 한 바를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그것은 12차 통신사행의 특징을 읽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19세기초 마지막 통신사행의 주자학 담론에는 일본 측의 주자학으로의 변화를 천명함과 조선 측의 환영하는 태도로 우호적인 분위기와 공경과 신의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주자학 담론에서 양측은 서로 다른 관심과 함의를 가지고 대화하고 있었다. 일본은 행동의 실제에 적용하는 문제에 관심을 드러내고 있었고 조선은 개인적 수기(修己)의 문제로 해명하고자 하는 태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즉, 조선은 주자학의 형이상학을 더 깊이 추구한 도덕론의 강조로 나아가고 일본은 주자학의 형이하학에 치중하여 사회적 윤리를 세우기 위한 치세론으로 나아간 주자학 담론의 장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다른 주자학의 담론 가운데서 양측의 기대도 각자 다른 것이었다. 서로 다른 함의의 주자학 담론을 알아차린 조선 측에서는 굳이 지적하지 않고 조선의 주자학적 영향이 계속되기를 기대하고 있었고, 일본 측에서는 빈주읍양의 예로 접대하는데 주자학 담론을 활용함으로써 일본의 높아진 국체를 기대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일본어

1811年の12次通信使行は朝鮮時代最後の通信使として易地されてし、縮小された瓦解と變質の通信使で、あるいはしんらいの交流で、ぎっくに非交隣的な閉鎖的交流に多樣に理解された。筆談集「對禮餘藻」は思想的變化のなかにあらためて登場された日本の寬政朱子學者たちと開國以來400年間朱子學の嫡統であることをしるした朝鮮の使行員たちのあいだの筆談唱譁した內容の日本がわの記錄です。「對禮餘藻」に これらの朱子學の談論をしらべて朝日のほかの含意の朱子學の實像と兩國が得ろうことしているもの讀めると思い、これは12次通信使行の特徵をよむひとつの方法がてきるてしょう。19世紀初最後の通信使行の朱子學の談論には日本がわの朱子學に變化を天明すると朝鮮がわの歡迎する態度で友好的な雰圍氣と恭敬と信義の共感帶を形成している。しかし朱子學の談論に兩側はお互いにことなる關心と含意おもつて對話しようとする。 日本は行動の實際に適用する問題に關心をあらわしていたが朝鮮は個人的修己の問題て解明しようとする態度をあらためている。すなわち,朝鮮は朱子學の形而上學をよりふかく、すすめた道德論の强調であったことがわかる。日本は朱子學の形而下學に置重して社會的倫理を 前たてるための治世論にすすんだ朱子學の談論の場であったことがわかる. このようになる朱子學の談論のなかに兩側の期待もそれぞれことなるものだった。 お互いにことなる含意の朱子學の談論をきづいた朝鮮がわでは無りやりに指摘せず、朝鮮の朱子學的影響がつつけることを期待しているが, 日本がわでは賓主揖讓の礼に接對することに朱子學の談論を活用するによって日本のたかまっの國體を期待していたことがす推測ることができる。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주자학 담론과 공감대 형성
 3. 치세론과 도덕론
 4. 주자학 담론을 통한 양측의 기대
 5. 맺는말
 참고문헌
 日文要約

저자정보

  • 구영진 具榮珍. 연세대(Yonsei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