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개항 이후 근대여행의 시작과 여행자

원문정보

Outset of modern journey & traveler since opening a port

황민호

숭실사학회 숭실사학 제22집 2009.06 pp.5-3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treatise is designed to examine an academic significance of travel, tourism & leis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how did modern travel start in Korea focusing on some domestic itinerary records written in flowering time. And it also analyzed some itinerary contents written in domestic magazine since opening a port, and examined how did it affect on modern travelers’ consciousness. Especially itinerary diary made by some figures like Min Young-Hwan, Lee Sang-Jae, and others who visited in competitive exhibition of Japan was a good clue to imagine how they felt about western civilization comparing to contemporary sad reality of Joseon.
Generally speaking, since primitive age, in Korea it has been preferred for people to use the term ‘tour’ instead of ‘travel’, and this trend continued to the end of Daehan Empire. For instance, a newspaper [Kyungsung Daily] issued on April, 1910 used this term ‘tourist team’ in which planned to recruit ex-and/or-incumbent officials for visiting Japan to see competitive exhibition. Travelers’ consciousness had reached on a peak especially since opening a port. Overall, we can find such evidences in some domestic magazines like [Sonyeon:Boyhood], [Youth], [Sijo: Epoch symptom], and [Dongkwang]. In addition, we can find an aspect to instigate national consciousness in itinerary of Choi Nam-Sun and Ahn Jae-Hong.
Generally speaking, in domestic itinerary, each writers showed a reality of colonization that they felt in the midst of travel. They all experienced colonized reality in many ways from various regions on the one hand, at the same time they aspired a superiority of western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Occasionally, they were at odd with Joseon government-general or racial discrimination of Japan.
Accordingly, modern civilization that derived from Japanese occupation gave us natural positivity on the one hand, but on the other hand, especially to the domestic intelligent and common people, it functioned as a sort of media through which can see social unfairness or dark side of colonization behind a visible reality.
And also the contemporary intelligent experienced modern civilization of western world through overseas studies or travels like Philippines and India. Though they talked about superiority of modern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they bitterly criticized backwardness of Joseon, or
often times, deplored by the oppressed situation of Japan.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우선 한국 근대 관광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관광 및 여행과 여가 등의 학문적 어원 및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는 한편, 개화기와 일제시기 국내 자료에 나타나는 여행자들의 여행기를 중심으로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또한 개항 이후 국내에서 발간된 잡지에 수록된 여행기의 내용을 분석하여 주로 개항 이후 근대적인 여행의식이 확산되어 가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뿐만 아니라 개항 이후 해외여행에 대한 여행기를 남겼던 민영환이나 이상재와 일본의 공진회를 다녀온 인물들의 여행기를 분석하여 그들이 여행을 통해 느꼈던 서양문명과 조선의 현실에 대한 인식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대체로 우리나라에서는 고대로부터 여행이라는 용어 대신 관광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경향은 한말까지 지속되었다. 1910년 4월에 『京城日報』가 일본에서 개최되는 共進會을 관람케 하기 위해 전ㆍ현직 관리들을 대상으로 일본 방문단을 기획하면서 이들을 관광단이
라고 부르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개항 이후 여행의식의 확신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대체로 『少年』, 『靑春』이나 『時兆』, 『동광』 등의 잡지에서는 그 일면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최남선이나 안재홍의의 여행기에는 일부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측면이 나타나고 있었다고 하겠다.
대체로 국내여행기에는 각 필자들이 일정지역을 여행하는 과정에서 보고 느꼈던 식민지적 현실을 소개하고 있었다. 이들 여행기에서 필자들은 근대문명에 대한 경외 등과 함께 다양한 식민지적 현실을 경험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조선총독부나 일본인들의 민족차별에 대해 강한 반감을 들어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제시기의 발전된 근대문명은 그것이 가지는 본래적인 긍정성 이외에 국내의 지식인들이나 일반인들에게 문명의 발달 이면에 보이는 사회적 불평등이나 식민지의 그늘을 바라보는 하나의 매체로 기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당시의 지식인들은 해외유학이나 여행을 통해 서구의 근대문명을 체험했으며, 필리핀이나 인도와 같은 식민지국가를 여행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들은 여행기를 통해 대부분 근대문명의 우수성을 이야기 하지만, 그것과 비교하여 나타나는 조선의 현실이나 후진성, 혹은 상대적으로 억압적인 조선의
식민지적 상황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나타내고 있었다고 하겠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관광의 의미와 어원
 Ⅲ. 개항 이후 여행자들의 경험
 Ⅳ. 일제시기의 여행자들의 경험
  1) 여행의식의 확산
  2) 국내여행기에 보이는 식민지의 그늘
  3) 해외여행에서의 근대와 근대문명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황민호 Hwang, Min-Ho. 숭실대 사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