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many companies begin to seek sustainable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and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have been recognized as essential elements of it. Founded on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and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other developed countries compete in the globalized economy. However, the labor-management relations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Korea.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has been emphasized, not much empirical research based on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 has done on th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provide ways to build win-win labor-management relations resulting in sustainable company. The result shows that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is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has an in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also was found to significantly relate to cooper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한국어
최근 기업경영의 핵심화두는 지속가능성 추구에 있으며, 그 핵심가치로서 조직의 윤리풍토 조성과 노사 간의 협조적 관계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글로벌 경제가 일반화된 현 시점에서 선진국들은 조직의 윤리풍토 조성과 협력적 노사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경쟁에서 앞서가는 반면에 우리의 노사관계는 대립과 반목을 거듭하고 있다. 노사관계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지만, 다양한 이론과 실증적 연구를 기반으로 한 노사 간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접근하지 못한 채 대부분의 경우 당위론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의 윤리풍토와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협조적 노사관계와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상생의 노사관계’ 구축을 통한 ‘지속가능한 기업’으로의 성장을 위한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조직의 윤리풍토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직무만족 역시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족은 협조적 노사관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조직몰입은 협조적 노사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가설검증결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의 윤리풍토는 협조적 노사관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1. 조직의 윤리풍토
2. 직무만족
3. 조직몰입
4. 협조적 노사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설문지의 구성 및 측정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표본의 특성
2. 연구모형의 측정
3.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