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광주지역의 수출행태에 관한 실증분석

원문정보

An Empirical Analysis of Export Behavior of Gwangju

모수원, 심재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reduced form impact of exchange rate and business activity on the major four export products of Gwangju. They are semi-conductors, cars, rotary electric products and refrigerators. This is accomplished by modelling export demand as exchange rate and world industrial production and estimating the income and price elasticities of demand for the exports of Gwangju. All series span the period January 2000 to April 2008. We first examine the univariate time-series properties of the series by testing whether the series are stationary or not. The number of lags is determined on the performance of the Lagrange multiplier test for serial correlation. We cannot reject the null hypothesis of a unit root in each of the level variables at the 5 percent significance level. Based on this result, we test whether there is a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them using Engle-Granger cointegration test. The results show that the null hypothesis of a unit root for the residuals from the cointegration cannot be rejected at the 5 percent level.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paper reveal that the income variable performs a key role in the long-run and the exports of semi-conductors and refrigerators are more likely to be volatile to the change of the uncontrollable variables. This study hitherto applies impulse response functions to the model to get an information regarding the responses of exports to the shocks in the exchange rate and income. The results show that exports respond positively to the shock in the income and decay very slowly, while exports do positively to the shock in the exchange rate for a very short period. This facts suggest that it is not the exchange rate but the income variable that influences the exports of Gwangju greatly.

한국어

광주의 주요 품목의 수출은 안정적 증가를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증가율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고는 이러한 원인이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해 광주의 주요 수출품목인 반도체, 냉장고, 가정용 회전기기, 자동차의 수출을 환율과 세계경기의 함수로 정의한다. 투입변수들에 대한 안정성 검정인 단위근 검정을 실시하여 변수들이 I(1) 특성을 갖는다는 것과 모형에 대한 안정성 검정인 Engle-Granger 공적분 검정과 Johansen 다변량 검정을 통해 모형이 정상적임을 보인다. 여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차는 아카이케 정보기준과 쉬워즈 베이즈 정보기준 그리고 Ljung-Box Q 통계량을 기준으로 한다. 모형이 정상적인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오차수정방정식을 구하여 4개 수출품목 모두에서 오차수정항이 음의 부호로 유의하며, 오차수정계수가 반도체에서 가장 작고 자동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는 것과 OLS를 이용한 추정을 통해 환율계수와 소득계수가 상당히 크며, 소득계수가 특히 크다는 점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충격반응분석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는 것도 보인다. 이것은 광주의 주요품목 수출이 통제불능요소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반도체 수출과 냉장고 수출의 환율계수와 소득계수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커지는 추세이어서 해외결정요소에 더욱 취약해지고 있다는 것을 보인다. 반도체 수출은 단기조정과정에서 조정속도가 떨어져 공급과잉과 같은 요인이 발생할 경우 가격하락에 따른 피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충격반응함수를 도입하여 환율의 수출증대효과는 크지 않고 단기간에 그치며, 해외경기가 수출증가에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인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모형도입과 안정성 검정
 Ⅲ. 모형추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모수원 Mo, Soo Won. 목포대학교 경여대학 무역학과 교수
  • 심재희 Shim, Jae-Hee. 중국 산동사범대학 국제상학원 전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